d라이브러리
"상이"(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상을 내왔다. 대화를 나누며 음식을 먹다 보니, 밥과 탕을 비롯해 반찬이 가득 차려진 상이 하나 더 등장했다. 파란 눈의 그는 이 모든 것을 기록했다. 한식 상차림 메뉴 기록한 파란 눈의 미국인조선 관아에서 극진한 대접을 받은 사람은 미 해군이었던 조지 클레이턴 포크다. 한자 이름은 복구(福久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런 면에서 사실 제 목표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고 여전히 갈 길이 멉니다. 노벨상 수상이 그간 저의 연구 성과에 대한 과학계의 인정이라는 점에서는 매우 기쁘지만, 수상 사실에 기뻐서 들떠 있을 겨를이 없습니다. 현재 제 관심사는 다음 연구로 뭘 할지 결정하는 것이랍니다. Q. 생물학 ...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받는다면 내 일처럼 기쁘기 마련인데, 하물며 그 상이 과학계에서 가장 영광스러운 노벨상이라니. 필자가 서멘자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렙틴 단백질에 관한 연구였다. 이 연구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산소농도와 관련이 있다. 저산소 상황에서 렙틴이 암의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로레알과 유네스코(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가 여성 과학자들을 장려하기 위해 만든 상이다. 매년 생명과학과 자연과학 분야에서 번갈아 가며 수상자를 선정하며, 아프리카 및 아랍권, 아시아-태평양, 유럽, 라틴 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이렇게 5개 지역으로 묶어 각각 1명씩 수상자를 뽑는다. 올해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클레이 재단이 주는 ‘연구상’, ‘2017 브레이크스루상 신인상’까지 수학계 상이란 상은 다 휩쓸었다. 2018년 5월에는 세계적 기업가인 일론 머스크와 함께 역대 최연소 영국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정됐다는소식이 전해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핫’한 수학자의 전공이 인문학이라니 ... ...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강한 지역에 사는 라마의 눈을 보호한다. 사각 눈동자는 수평으로 길쭉한 물체를 봤을 때 상이 정확하게 맺힌다. 동공 위아래에 있는 근육이 동공을 가로로 길게 수축시켜 옆으로 움직이는 사물을 비교적 또렷하게 본다. 바닷가재 | 바닷가재는 매우 독특한 눈 구조를 갖는다. 대부분 동물의 눈은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구조를 가진 금 나노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오른손과 왼손처럼 서로 거울 대칭상이지만 겹쳐지지 않는 특성을 ‘거울상 이성질’ 또는 ‘카이랄성’이라고 한다. 단백질의 기본 구조인 아미노산을 포함해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모든 유기 분자는 카이랄 구조를 하고 있다. 카이랄 구조의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명성이 높아진 거예요?1950년대까지만 해도 필즈상을 모르는 사람이 더 많았습니다. 필즈상이 유명해진 건 미국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과 노벨상 덕분이에요. 스메일은 1966년 필즈상을 받았는데, 당시 베트남 전쟁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반미활동조사위원회에 소환된 상태였어요. 소환 전에 이미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업적이 뛰어난 만 40세 이하의 한국 젊은 여성수학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상이지요. 올해에는 순수수학 분야에서 이영애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응용수학 분야에서 김미란 미국 텍사스대학교 교수가 수상했습니다. 이 두 분을 수학동아가 만나봤습니다. Q. 두 교수님 모두 수상을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주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표용지를 연두색, 노란색, 하늘색 청회색, 연미색 등색상이 다르게 제작합니다. 색을 분류하는 능력이야말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보편적으로 지니는 본능이기 때문입니다. 영국 서식스대 심리학과 연구진이 4~6개월 된 아기 179명을 대상으로 색상을 얼마나 구분할 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