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이"(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물은 그만~! 맵지 않은 양파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노벨상을 패러디해 만든 상으로, 재밌고 기발한 연구를 한 사람들에게 주는 상이지요.최근 하우스푸드 연구팀은 강한 이온빔을 쏘아 양파의 알리이나아제 성분을 약화시켰어요. 매운 향을 가진 물질을 제거해 눈물이 나지 않게 만든 거예요. 그 뒤 20명의 직원이 직접 새로 개발된 양파를 만져 보고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야행성 동물에게 이런 밝은 불빛은 치명적이랍니다.반면 사람처럼 낮에 활동하는 동물은 상이 맺히는 망막 부위에 원추세포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각 원추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되어 있는데, 그 크기가 아주 작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구별할 수 있어요. 그러나 원추세포가 반응하려면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매우 중요하다. 남북한의 용어 차이를 지속적으로 수집․파악하고, 전문 분야간의 상이한 용어를 표준화하는 전문 기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런 노력이 통일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 사실이다. 한 번 벌어진 남북 간의 용어 간극은, 지금도 계속 커지고 있기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비해 너무 작은 거 아냐?우주의 ‘돛단배’, 제임스 웹(JWST)허블우주망원경은 지상이라면 소형에 속할 2.4m짜리 주경과, 겨우 13m에 불과한 자그마한 몸체를 갖고 있어요. 하지만 우주 나이를 알아내고, 130억 광년이나 떨어진 초기 우주를 관측했어요. 지상에 있는 10m급 망원경인 켁과 비슷한 성과예요.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압력과 온도를 조절해서 물을 삼중점 위에 놓으면 물, 얼음, 그리고 수증기의 세 가지 상이 함께 공존한다.물의 삼중점의 압력은 611.73Pa, 온도는 273.16K다. 1967년 이후로 국제 표준 온도 단위는 물의 어는점, 끓는점이 아닌, 물의 삼중점을 이용해 정의한다. 물의 삼중점의 절대 온도를 273.16로 나눈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하나 있었다. 뻥 뚫린 커다란 안구의 흔적.눈은 클수록 해상도가 좋다. 망막에 맺히는 상이 커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새들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 머리에서 안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다. 사람의 눈도 많은 부분이 피부에 가려져 있지만 새들은 훨씬 더 기만적이다. 동공을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아니라는 뜻이다.복잡한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수학으로 설명하는 건 어렵다. 이런 현상이 비선형적이기 때문이다. 내시 교수는 이런 대상을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가져와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덕분에 직접 나타낼 수 없는 대상물을 우리가 알고 있는 도형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확대시키면서 빛을 받아들인다. 그러면 수정체가 빛을 모아 망막에 상하좌우가 뒤집힌 상이 맺힌다. 여기서 시각정보는 전기신호가 되어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해진다. 러시아 과학자인 알렉세이 소신스키는 3차원 사물이 망막에서 2차원으로 맺히기 때문에 우리가 고차원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 ...
- 근시 vs 원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그래서 원시인 사람은 빛을 한 곳으로 모으는 볼록렌즈 안경을 써야 하지요. 그러면 상이 더 앞쪽에 맺혀서 가까운 곳도 뚜렷하게 볼 수 있답니다. 원시는 나이가 들어 수정체에 탄력이 떨어지면 많이 생기기 때문에 ‘노안’이라고도 불러요. 초점이 맞아요, 난시난시는 눈에 들어온 빛이 한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12년 뒤인 1936년 노르웨이 대회부터 상이 수여됐어. 필즈의 노력을 생각해 이 상에 필즈상이라는 이름도 붙였지. 게다가 미래 수학 발전에 크게 공헌할 수학자가 받기를 바란 필즈의 유언을 참고해 수상자 나이를 만 40세 이하로 제한했어. 필즈상은 4년 마다 한 번 시상을 하는 데다 대회가 열리는 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