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d라이브러리
"
소수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증명했다는 것 자체가 아릅답게 느껴진다”라고 설명했다. 에우클레이데스로 인해
소수
가 무한하다는 것을 21세기를 사는 우리도 의심하지 않을 수 있게 증명해냈다. 증명의 힘이 이래서 강하다 ... ...
소수
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메르센 수 267 - 1 이
소수
가 아니란 사실을 밝힌 일화는 수학계에서 유명하다. 이 수가
소수
가 아니라는 사실은 이미 밝혀졌지만, 어떤 수학자도 이 수의 소인수를 모두 알아내지 못했다. 그러던 1903년에 미국 수학자 프랭크 넬슨 콜이 미국수학회 강연에서 한마디 말도 없이 칠판으로 다가갔다.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단,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해
소수
가 될 수 있는 수를 추린 다음 이 후보들에 다른
소수
판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놀랍게도 페르마의 소정리는 수학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도 아주 중요하다. 인터넷과 신용카드 등에 쓰이는 ‘RSA 암호’에 그 원리가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암호에 관해서는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하지만 리만은 불과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왜냐하면 그는
소수
의 개수를 알 수 있는 식을 설명하는 게 중요했고, 가설은 부수적인 조건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해당 논문에 그는 ‘이 가설은 엄밀한 증명을 거쳐야 한다. 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증명을 시도해 봤지만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도전은
소수
의 규칙을 찾는 그 영광을 얻기 위해 계속될 것이다. *머튼스 추측 : 복
소수
의 소인수분해에 관한 문제로, 머튼스 추측이 참이라면 리만 가설도 참이다. 하지만 머튼스 추측이 거짓이라고 해서 반드시 리만 가설이 거짓이 되는 건 아니다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관련이 있다. p와 2p + 1이 모두
소수
이면 2p + 1을 보안
소수
(안전
소수
)라고 한다. 이런
소수
를 이용해 암호 알고리듬을 만들면 해독이 더 어려워진다. 해독이 어려운 이유는 p - 1의 인수 가운데 작은 수는 많지 않아 이 수를 인수분해 하기가 쉽지 않고 그에 따라 암호화하면 보다 높은 안전성을 ...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한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두
소수
(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
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구하는 건 쉽지만, 공개키에서 비밀키를 구하는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란 소설입니다. 이 책은 세계적인 수학 교양서 중 하나로 수학 연구자의 삶을 따라가며
소수
에 대한 흥미를 얻게 되는 구성이 인상적입니다. 이 소설의 제목인 골드바흐의 추측은 수학계의 대표 난제입니다. 제시된 지 280여 년이 지났지만 아직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소설의 주인공인 페트로스는 ... ...
영재학교 전교생이 열광하는
소수
교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전국에서 난다 긴다 하는 영재들이 모이는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이곳엔 ‘
소수
를 숭배한다’라는 미스터리한 신조로 활동하는 수학 동아리 ‘
소수
교 ... 할 때도 있다. 무엇보다 이들이 가장 집중하는 일은
소수
를 이용한 이벤트를 기획해
소수
의 매력을 많은 사람에게 알리는 것이다 ... ...
소수
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치고 지우는 작업은 많아야 √N 까지만 하면 된다. N까지의
소수
를 구하려면 √N 까지의
소수
를 체에 거르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명제가 증명된 것이다.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한 기술로 쓰이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