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연"(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21세기의 연금술사들, 새로운 원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Nh)’을 예로 들어볼까요? 일본의 과학자들은 새 원소를 만들기 위해 30번 원소인 아연(Zn) 이온을 83번 원소인 비스무트(Bi)에 강하게 충돌시켰어요. 그러자 두 원소의 원자핵이 합쳐지면서 양성자가 113개 든 원자핵이 만들어졌지요. 과학자들은 이 원소에 니호늄이라는 이름을 붙였죠.물론 새로운 ... ...
- [과학뉴스]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옵티컬 머티리얼스’ 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구리가 첨가된 황화아연을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다. 이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 디스플레이는 전류에 의한 손상뿐만 아니라 자르거나 잡아당겨 뜯어내는 등 물리적으로 손상돼도 복구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나지 않지요. 철보다 전자를 잃기 쉬운 아연을 도금할 수도 있어요. 그러면 산소는 아연을 산화시키는 데만 집중해 철을 산화시키지 않는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쉐킷쉐킷~’ 흔들면 따뜻해지는 핫팩의 원리 손에 쥐고 흔드는 핫팩과 몸에 붙이는 핫팩은 모두 겉비닐을 벗기기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생물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기도 합니다. 한편 이 과정에서 구리나 아연 등 각종 유용한 금속이 밀집한 심해 열수광상이 만들어지는데, 오늘날 세계 각국은 그 잠재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필자가 속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오렌지 전지로 친환경 시계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구리 전극(노란색)이 꽂혀 있는 오렌지에 연결해야 해요. 즉 오렌지 하나에 구리 전극과 아연 전극이 하나씩 꽂히도록 하는 거죠. 이렇게 연결하는 순간 전기가 흐르고, 시계 모듈에서 시간이 짠 하고 나타난답니다. 여러 가지 종류의 과일과 채소를 이용해 나만의 친환경 시계를 만들어 보세요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년 전~5억4000만 년 전)부터 신생대(6500만 년 전~현재)까지 전 지질시대에 걸쳐 형성돼 철, 아연, 마그네슘 광상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지만 지질조사나 탐사, 채광, 선광, 제련 등 기술에서는 다소 떨어져 남북 협력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 ...
- [과학뉴스] 고속도로 주변 오염물질의 90%는 타이어 탓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연구팀은 타이어 등에 포함된 물질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타이어와 브레이크 패드에는 아연, 납, 규산염, 카드뮴 등 중금속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기레 교수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 마모로 발생한 입자는 크기가 커서 주로 도로 주변의 동식물에 영향을 준다”며 “도로 주변 수로를 ... ...
- [과학뉴스] 그리기만 해도 빛이? 연필로 그리는 배터리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연구진이 만든 배터리는 ‘금속-공기 배터리’의 일종이에요. 이 배터리는 금속 아연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면서 산화하는 현상을 이용해요. 이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전자가 회로를 따라 흐르며 전기에너지가 발생하지요. 연구진은 종이에 마이크로미터(μm, 100만 분의 1m) 단위의 구멍이 있다는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셀레늄화아연(ZnSe)이나 탄화규소(SiC)를 재료로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셀레늄화아연으로 만든 LED는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하지 못해서 수명이 무척 짧았고, 1993년 탄화규소로 청색 LED를 개발했지만 효율이 약 0.03%에 불과해 사실상 상용화할 수 없었습니다. 이때 고효율 청색 LED를 만들 수 있는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요 광물의 92.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게다가 첨단 산업의 재료인 철, 동, 아연,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희토류 등의 광물은 수요가 많아 거의 전량 수입한다. 반면 북한은 마그네 사이트와 흑연의 경우 세계 10위권 부존 규모와 생산 실적을 갖고 있다. 남한이 필요로 하는 광물종을 북한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