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연"(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체 (導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때 광이 나고 전기와 열을 잘 전달하는 물질들을 금속이라고 해요.금이나 은, 구리, 아연 등이 금속이지요.금은 세월이 흐르고 쌓여 지금에 이르렀다는 뜻의 ‘금(今)’과 흙을 뜻하는 ‘토(土)’가 합쳐진 한자예요. ‘오랜 시간에 걸쳐서 흙 속에 만들어진 광물’이라는 뜻이지요.처음에는 노란 ... ...
-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만든 작품이다. 원리는 이렇다. 아연판이 과일 안에 든 산성 성분(구연산 등)과 만나면, 아연판이 부식하면서 전자를 잃게 된다. 이 전자가 구리판으로 들어가면서 전류가 흐른다. 작가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전기 현상의 완벽한 단순함이 나에겐 정말 매력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학창시절에 ... ...
- [Life & Tech] 우리 결혼할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낮은 물질을 두 물체 사이에 흘려 넣습니다. 은반지를 잇는 데 쓰는 땜질용 은은 순은에 아연 등을 섞어서 만들어요. 순은은 녹는점이 961℃인 데 비해 땜질용 은은 700~800℃로 낮지요. 애써 만든 은반지를 녹이지 않으면서도 끝 부분만 살짝 이을 수 있습니다. 공방 한 구석에서 무언가를 발견한 ...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지점의 미세한 전기적 반응을 측정하는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장치는 구리판과 아연판을 여러 층으로 쌓고 이들을 묽은 황산용액에 넣어 만든다. 구리·아연 층이 쌓일수록 전압도 커지며, 화합물의 전기분해 같은 다양한 실험에 성공적으로 쓰였다.주파수의 단위인 Hz(헤르츠)는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헤르츠는 처음으로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견된다. 이 단백질이 머리 속의 지우개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뇌 속에 있는 구리나 아연 같은 금속 물질과 이 단백질이 결합한 집합체가 신경세포를 파괴한다고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임 교수가 개발한 화학도구는 이 기작을 밝히는 ‘효자 물질’이다. 이 물질은 ... ...
- 금과 은 나와라, 뚝딱! 내 주변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펴지고, 잡아당기면 끊어지지 않고 길게 늘어나서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기가 쉽지요.또 아연이나 니켈, 구리 같은 금속을 섞으면 단단하고 강하게 만들 수도 있답니다. 그래서 금과 은은 여러 산업 분야에서도 쓰이고 있어요.금 Au원자번호79노란색을 띤다.고온에서도 물이나 산소에 반응하지 않아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먹이사슬은 오염물질이 사람까지 전달되는 매우 주요한 경로다. 수은이나 카드뮴, 구리, 아연 같은 중금속이 먹이사슬을 따라 하위 피식자에서 상위 포식자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좋아하는 참치나 연어는 수생태계 먹이사슬의 가장 위에 있어서 이들 물고기 안에는 중금속이 많이 농축된다.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팀은 마침내 세계 최초로 P형 질화갈륨 반도체를 개발한다. 이들은 전자현미경으로 아연을 입힌 질화갈륨을 연구하던 중, 박막을 전자빔으로 때리자 N형이던 반도체가 P형으로 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마그네슘을 입힌 P형 질화갈륨 반도체를 얻는 데 성공한다. 연구팀은 마침내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알 수 없다고 해서 X선이라는 이름을 붙였대. 1912년 독일의 막스 폰 라우에는 광물인 황화아연(ZnS) 결정에 X선을 쪼였다가 회절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지. 하지만 X선이 만드는 회절 무늬로 결정 속 입자의 구조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든 사람은 영국의 로렌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