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학생들이 새벽 12시, 1시까지도 이곳에 붙어 실험을 하곤 한다”면서 “레이저 핵융합을 연구하는 방우석 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도 이곳에 있는 고체 타깃 레이저로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지만 잽싼 레이저과학 연구단의 ‘구축함’에 언젠가 또 하나의 태양이 떠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전자통신컴퓨터공학은 물론 양자공학, 양자물리학의 연구까지 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입니다. 자율주행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객체탐지 기술은 블랙박스와 같은 이미지 저장 장치에 당사자의 동의 없이 사진이나 정보가 저장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런 까닭에 이미지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 교과를 ‘물리학 과제연구’ ‘화학 과제연구’ ‘생명과학 과제연구’ ‘융합과학 과제연구’로 세분해서 학생들의 신청을 받았는데요. 학생들은 토론과 조사를 거쳐 자신들이 궁금한 과학 문제를 선정하고, 그와 관련해 실험을 설계 수행한 후, 최종적으론 보고서까지 작성하며 일련의 연구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음악 인지과학 등 다양한 학문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인문계와 예술계, 이공계를 아우르는 융합 학문인 셈이다. 이 교수에게 찾아온 이유를 설명하자, 그는 우리가 음악을 듣는 과정을 설명했다. 감각, 지각, 인지. 그는 뇌가 음악을 인식하는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구분했다. 독자 여러분이 좋아하는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입장에서 소개할 적임자인 셈이다. ‘챗GPT 자기주도 공부법’은 챗GPT가 이른바 창의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인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의 역량을 기르는 데 유용한 수단임을 강조한다. 시험 준비를 할 때 들여야하는 시간의 양을 알려주는 것은 자기관리, 어려운 개념이나 ... ...
- [특집] 궁금해! 제로슈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C202309N002 콜라, 젤리, 쿠키, 아이스크림단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집니다.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비만이 되거나 건강을 해칠까 봐 걱정되기도 하죠.이런 걱정을 줄여주는 제품이 있는데요. 바로 설탕을 뺀 제로 슈거입니다.최근 음료, 과자, 과일, 심지어는 약까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쓴맛 수용체와도 결합하기 때문에 단맛과 쓴맛이 함께 느껴질 수 있답니다. 건국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오덕근 교수는 “감미료마다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식품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 등의 감미료는 수분을 끌어당기는 당알콜 성분이라 증발하면서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협업으로 진행되는데요. 문제를 바라보는 여러 시각, 서로 다른 능력과 기술을 어떻게 융합하느냐가 문제 해결의 핵심이지요. 이 경험을 중고생 때 해보기가 쉽지 않아요. IMO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친구들과 높은 수준의 수학적 토론을 할 수 있었던 것이 훗날 수학자가 되어서 큰 도움이 ...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그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핵분열 원자로와 같은 방사능 없는 수소 핵융합 발전도 연구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화석 연료를 아예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은 실용화 단계에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수소를 어떻게 얻느냐가 문제인데, 현재로서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물 분해가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인데 원시별의 표면 온도는 겨우 2000~4000K입니다. 태양 질량의 8%가 될 때까지 커져야 핵융합 반응으로 스스로 에너지를 생성해 빛을 뿜는 진정한 별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원시별은 성간 구름의 잔해인 먼지에 둘러싸여 있는데, 먼지 또한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킨다. 그렇다보니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