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이런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강동고에선 여러 교과의 선생님들이 참여해 실질적인
융합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교원학습공동체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창의재단이나 대학들의 도움을 받기도 했고요. Q.학생들이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히 더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협업으로 진행되는데요. 문제를 바라보는 여러 시각, 서로 다른 능력과 기술을 어떻게
융합
하느냐가 문제 해결의 핵심이지요. 이 경험을 중고생 때 해보기가 쉽지 않아요. IMO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친구들과 높은 수준의 수학적 토론을 할 수 있었던 것이 훗날 수학자가 되어서 큰 도움이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자석을 만들 수 있다”며 “극저온이 아닌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핵
융합
상용화를 훨씬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원리는 모르지만, 만들고 싶어 오늘날 초전도 현상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매우 까다로운 조건이 맞춰야 한다. 임계 온도와 자기장의 세기, 전류밀도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그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핵분열 원자로와 같은 방사능 없는 수소 핵
융합
발전도 연구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화석 연료를 아예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은 실용화 단계에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수소를 어떻게 얻느냐가 문제인데, 현재로서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물 분해가 ...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것”이라고 풀이했다. 공간 컴퓨팅을 연구하는 권순철 광운대 스마트
융합
대학원 정보
융합
시스템학과 교수는 “요소 기술 자체는 어느 정도 궤도권에 올라온 상태라, 이를 각 회사가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나타내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강원대 인간공학 메타버스 연구실을 이끄는 김우주 교수는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간의 행위 중에 하나지요. 이승민 /충남과고 3학년 : 여러 학문을
융합
하는 사고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서로 다른 분야를 엮으려면 일단 각각의 분야를 어느 정도 이해해야 해요. 그리고 두 분야를 연결하는 데 적합한 언어를 만들어야 하지요. 그 분야를 자기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는 그 중 한 구절이기도 하다. 요즘 표현으로 오펜하이머는 다방면에 전문성을 가진
융합
형 인재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사고방식은 뼛속까지 물리학자이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생각할 때, 외부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내재적 정합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갖고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나눠주며 우주를 빛내고 있다는 사실을 과학동아를 통해 배웠다. 물론 그 시절에 핵
융합
연구를 위해 인공태양 실험을 하는 현재의 모습을 상상하지는 못했다. 초중고 시절의 상상들이 무의식적으로 필자를 지금의 자리로 이끌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그래서 지금 과학동아를 읽는 학생들에게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조 교수는 “미래 4차 산업을 대비한 대학 교육의 혁신이 시작됐다”며 “스마트제조
융합
전공에서 기르고 배출하는 인재들이 경상남도의 내일을 이끌 것”이라고 확신했다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많은 ‘순에너지’를 처음으로 얻어냈습니다. 학계에서는 이번 결과로 레이저 방식의 핵
융합
연구가 탄력을 받게 될 거라 예측했습니다. 끔찍한 핵무기를 개발했지만 핵무기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알리려 했던 오펜하이머. 그의 삶은 과학을 다루는 과학자의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얼마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