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쓴맛 수용체와도 결합하기 때문에 단맛과 쓴맛이 함께 느껴질 수 있답니다. 건국대학교
융합
생명공학과 오덕근 교수는 “감미료마다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식품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일리톨과 에리스리톨 등의 감미료는 수분을 끌어당기는 당알콜 성분이라 증발하면서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협업으로 진행되는데요. 문제를 바라보는 여러 시각, 서로 다른 능력과 기술을 어떻게
융합
하느냐가 문제 해결의 핵심이지요. 이 경험을 중고생 때 해보기가 쉽지 않아요. IMO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친구들과 높은 수준의 수학적 토론을 할 수 있었던 것이 훗날 수학자가 되어서 큰 도움이 ... ...
[에디터 노트] 30년 전 인터뷰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여러 번 찾아간다는 건 내용에 의구심이 많다는 뜻이거든요. “결실을 맺는다면 핵
융합
이상으로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주제니까. 묻혀있기보다는 사람들이 자꾸 거론하고 논쟁을 이어가길 바랬던 거지. 이번이 안됐다고 해도 상온 초전도체 연구는 앞으로 계속 관심 갖고 추적하면 좋을 것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인데 원시별의 표면 온도는 겨우 2000~4000K입니다. 태양 질량의 8%가 될 때까지 커져야 핵
융합
반응으로 스스로 에너지를 생성해 빛을 뿜는 진정한 별이 될 수 있어요.” 또한 원시별은 성간 구름의 잔해인 먼지에 둘러싸여 있는데, 먼지 또한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킨다. 그렇다보니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는 그 중 한 구절이기도 하다. 요즘 표현으로 오펜하이머는 다방면에 전문성을 가진
융합
형 인재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사고방식은 뼛속까지 물리학자이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생각할 때, 외부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내재적 정합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갖고 ... ...
[과동키즈] 핼리혜성을 쫓다가 인공태양에 이르렀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나눠주며 우주를 빛내고 있다는 사실을 과학동아를 통해 배웠다. 물론 그 시절에 핵
융합
연구를 위해 인공태양 실험을 하는 현재의 모습을 상상하지는 못했다. 초중고 시절의 상상들이 무의식적으로 필자를 지금의 자리로 이끌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그래서 지금 과학동아를 읽는 학생들에게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많은 ‘순에너지’를 처음으로 얻어냈습니다. 학계에서는 이번 결과로 레이저 방식의 핵
융합
연구가 탄력을 받게 될 거라 예측했습니다. 끔찍한 핵무기를 개발했지만 핵무기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알리려 했던 오펜하이머. 그의 삶은 과학을 다루는 과학자의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얼마나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조 교수는 “미래 4차 산업을 대비한 대학 교육의 혁신이 시작됐다”며 “스마트제조
융합
전공에서 기르고 배출하는 인재들이 경상남도의 내일을 이끌 것”이라고 확신했다 ...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것”이라고 풀이했다. 공간 컴퓨팅을 연구하는 권순철 광운대 스마트
융합
대학원 정보
융합
시스템학과 교수는 “요소 기술 자체는 어느 정도 궤도권에 올라온 상태라, 이를 각 회사가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나타내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강원대 인간공학 메타버스 연구실을 이끄는 김우주 교수는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7월 7일 광운대 공간 컴퓨팅 연구실에서 만난 권순철 광운대 스마트
융합
대학원 정보
융합
시스템학과 교수는 “메타버스는 기술적 개념보다는 철학적 개념”이라면서 “최근 들어 메타버스를 만드는 기술의 개발 주기가 빨라진 것은 사실”이라고 답했다. 기술 개발 속도의 가속화에는 AI가 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