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수열로 불리지 않았지만, 19세기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가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이름을 붙였어요. 수열의 항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식인 ‘점화식’을 이용해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시 만화의 내용으로 돌아올게요. 토끼 행성의 위치는 오후 10시를 기준으로 순간 이동하듯 위치가 ... ...
- [과학뉴스]노란 소변 속에 숨겨진 장내미생물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추려낼 수 있었다. 연구팀은 빌리루빈 환원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에 ‘BilR’이란 이름을 붙였다.연구팀은 추가실험을 통해 BilR 유전자가 건강한 성인의 장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한편 신생아나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장에서는 BilR 유전자가 쉽게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빌리루빈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진 에너지는 3.2×1020eV였다. 신과 가장 거리가 멀 것 같은 과학자들이 이들 입자에 신의 이름을 붙인 데에는 이유가 있다. 김 교수는 “두 입자가 지구에 도달한 과정에는 현대 물리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석이 있다”면서 “복잡한 이야기지만, 우선 우주를 관측한다는 건 우주의 천체에서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한 주의 큰 즐거움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과학동아 애독자라면 갈로아(김도윤) 작가의 이름을 보자마자 궁금할 것이다. 그가 또 이번엔 어떤 과학웹툰을 그렸을까 하고.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만화로 배우는 공룡의 생태’에 이어 갈로아 진화 3부작의 대미를 장식하는 이번 책의 제목은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분류학자로서 AI에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싶다”고 말했어요.AI가 식물의 이름을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해선 각 식물마다 충분한 양의 생태 이미지를 학습해야 합니다. 생태 이미지는 식물이 산이나 들판에서 발견된 모습 그대로를 촬영한 사진이에요. 현장 교육에 참가한 대원들이 남긴 38 ...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제곱은 다른 두 변의 제곱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닮아 피타고리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임스는 득점이 많고, 실점이 적은 팀이 순위가 높다는 단순한 사실에 착안해 이 식을 만들었다. 현재는 피타고리안 승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수 2를 1.83으로 바꿔 계산하고 있다.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서 바늘처럼 뾰족하게 생긴 비행기 한 대가 공개됐다. 비행기의 이름은 X-5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조용한 초음속 기술(QueSST)’이 적용된 시험 기체였다. 마하 1.4(시속 1489km)의 속도를 75dB(데시벨)의 저소음으로 날 수 있다는 X-59는 과연 콩코드의 은퇴 이후 잠잠해진 초음속 ... ...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저는 2020년 7월 16일에 중국에서 태어난 복제 붉은털원숭이, 레트로(ReTro)예요! 제 이름 앞에는 항상 ‘최장 생존’이라는 명예로운 수식어가 붙죠. 복제로 태어난 붉은털원숭이들 중 가장 건강하고 오래 살아서라고 해요. 아, 비결이요? 기존 복제 방식인 체세포 핵이식(SCNT)에 융모막 치환술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1km2의 면적을 가진 망원경을 만들겠다는 ‘Square Kilometer Array’, 줄여서 SKA라는 야심 찬 이름이 붙었다. 현존하는 세계 최대 단일 전파망원경은 중국 구이양에 있는 직경 500m의 FAST이다. FAST의 수집 면적이 0.196km2이니 실로 어마어마한 수집 면적이다. 2012년, 국제 SKA 기구는 남아공 카루과 호주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두 ‘메르센 소수’라는 점이다. 메르센 소수는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거듭제곱에서 1을 뺀 모양의 소수다. 왜 모두 메르센 소수일까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