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소수도 있다. 수학자의 소수를 향한 절절한 사랑이 느껴지는 별별 이름의 소수를 소개한다. 그 시작은 소수계의 슈퍼스타 ‘쌍둥이 소수’다. 쌍둥이 소수는 소수만 쭉 나열했을 때, 간격이 딱 2 차이 나는 소수 쌍을 말한다. (3, 5), (5, 7), (11, 13)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발표됐지만, 3년 동안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던 2013년 6월 폴리매스에서 장 교수의 이름이 다시 등장한다. 수학계를 깜짝 놀라게 한 장 교수의 쌍둥이 소수 추측 관련 논문에 나온 방법을 이용해 소수의 간격을 줄이기로 한 것이다. 바로 폴리매스 8번 문제다. 여러 명의 지식이 더해지자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응용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UIBR嗹se-inspired basic research)’라 명명했습니다. 복잡한 이름의 이 분야를 응용연구 혹은 응용연구의 사전연구로 오해해서는 안 됩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동기가 있을 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두갑 서울대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에 달하는 유선형의 몸통에 몸집에 비해 다소 얇지만 꽤 긴 지느러미가 달려있죠. 그리고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혹처럼 보이는 여러 개의 돌기가 나 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이 돌기들은 얇고 긴 지느러미와 주둥이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혹등고래의 재미난 특징은 또 있습니다. 육중한 ... ...
- 고려시대 선박, 잠에서 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 선박에는 발굴 지역의 명칭을 따 ‘해남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어요. 연구팀이 발견 당시 남아 있던 선박의 규모를 측정한 결과, 배의 길이는 최대 13.4m, 폭은 최대 4.7m에 달했어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노경정 연구사는 “배의 바닥 면인 저판의 규모로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지사탐과 생태 이야기를 하면 시간 가는 줄 몰라요. 같이 밥을 먹을 때 새나 생물의 이름을 대는 게임을 하기도 해요. 떨어져 있을 때도 뭔가 발견하면 사진을 공유하지요. 친구들과 따로 연락하며 탐사도 같이 다니고 있어요. 2022년 수원 탐조 책방에서 처음 모였지요. 충청남도 서천에 다 같이 가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거대한 공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너비 157m, 높이 112m에 달하는 이 건축물의 이름은 바로 스피어! 스피어의 바깥과 안쪽은 모두 LED로 덮여있습니다. 그래서 스피어 바깥은 LED 영상에 따라 농구공이나 눈, 얼굴, 지구, 달 등 자유자재로 변신해요. 스피어 안쪽에는 사방을 둘러싼 화면과 16만 개의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첫 시작은 캐릭터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여러 컨셉을 참고해 옷을 입힐 수 있죠. 로블록스 상점에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이름을 검색하면 관련된 의상이 나와요. 저는 애니메이션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의 주인공 폼니를 따라 캐릭터를 꾸며 봤답니다. 최근 로블록스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스타일은 초기 로블록스의 기본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된다고 생각했다. 훗날 사람들은 메르센 수 중 소수인 수를 ‘메르센 소수’라고 이름 붙인다. 그런데 메르센은 n이 11일 때는 211 - 1 = 2047이고, 2047은 23 × 89 로 소인수분해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메르센은 n이 257과 같거나 작을 때, 즉 n = 2, 3, 5, 7, 1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버트 다니엘 카마이클이 처음으로 카마이클 수의 최솟값이 561이라는 것을 알아내 그의 이름이 붙었다. 이런 카마이클 수와 같은 유사소수 때문에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해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정할 수 없다. 소수가 아닌 수도 페르마의 소정리를 만족하기 때문이다. 유사소수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