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전
계승
승리
전통
개진
개선
세습
d라이브러리
"
전승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한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책지 화장지 벽지 창호지 장판지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었다.한지를 만드는 방법은
전승
된 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개의 순서는 비슷하다. 먼저 수확한 닥나무의 줄기에서 작은 가지를 제거하고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것을 다발로 묶어 솥에 넣어 찐 다음 껍질을 벗겨서 말린다.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사물을 좌뇌형은 연역적으로, 우뇌형은 귀납적으로 처리한다. 조상들의 뛰어난 업적은 우뇌의 직관력 창의력이 우수한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이를 잘 계승 발전시키지 못했다. 문화를 간직하고 다듬어 다양화하는 좌뇌형 인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좌뇌형이 많은 사회는 교육을 통해 만 ... ...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초점을 맞춘 각종 전시물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개발도상국들은 고유의 문화와
전승
기술, 자연환경 등의 소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자국을 소개하는 노력을 기울였다.러시아관우주정거장 '미르'로 대표되는 '우주에서의 36년''우주에서의 36년'이란 주제 아래 러시아 우주항공기술의 진수를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에서 사용되고, 또 한번은 유전정보를 아비로부터 자식에게
전승
하기 위하여 복제할 때 사용된다.폰 노이만의 이론은 비록 상상력의 산물이긴 하지만 그로부터 5년 뒤에 DNA분자의 이중 나선구조가 발견되었다는 측면에서 볼 때 실로 경이로운 탁견이라 아니할 수 없다.생명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바꾸었다.이 나라 사람들의 생활철학은 조상들이
전승
해준 관습으로 대신하고 있다. 그 관습이란 바로 불교다. 1백97년 전 제정된 스리랑카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인공으로 만든 베이라 호수를 끼고 콜롬보 바닷가를 지나면서 가끔씩 보게 되는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진행돼 향약방서의 출현까지 보게 되었다.조선시대에 와서도 고려시대의 업적을 그대로
전승
해 나갔다. 1343년 (세종 15년)에 세종대왕은 집현전 학사들에게 친히 명하여 향약의 발전을 도모했다. 이로써 고려시대의 향약입효방을 개편한 향약집성방이 편찬되기에 이르렀다. 아울러 국내 야생약초를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무려 30여년이 지난 1972년에 이르러서였다. 추제의 아이디어는 패전국의 운명과 같았다.
전승
국 미국과 영국에서도 국수 뽑기식 프로그래밍의 한계를 분명히 깨닫기 시작했다. 그 선두에는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Grace Muray Hopper)라는 아주 조그만 체구의 여성 과학자가 버티고 있었다. 호퍼는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행사와 의식에 앞서 연설을 하고 시를 읊었다. 1년은 18개월음악과 춤은 종교의식 결혼식
전승
(戰勝) 축하 고위관리 취임 등 축제일에는 어김없이 행해졌다.아스테카의 일력은 1년을 18개월(1개월은 20일)로 나누었다. 여기에 5일간의 보충일을 붙이게 돼 있었다. 대개 5일간은 새해를 맞이하는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날이 도래할 수도 있다는 암시를 함축하고 있어 일편 고무적이다. 하지만 종(種)내에서만
전승
돼야 할 유전자를 무질서하게 뒤죽박죽 헝클어 놓은, 다시말해 신의 엄격한 계율(戒律)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행위이기도 하므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의 불'(火)에 비유되기도 한다.얼마전 일본의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처음으로 통일되던 때부터 2차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의 수도였다.2차대전 후 베를린은
전승
국인 미 영 불 소에 의해 4분할되었다. 소련 점령지역인 동베를린은 동독의 수도가 되었지만 미 영 불에 의해 분할된 지역은 여전히 이들 국가의 관할하에 있었다. 통일전 서베를린 지역은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