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전
계승
승리
전통
개진
개선
세습
뉴스
"
전승
"(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혹등 고래 노래에 사람 언어 법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혹등고래의 노래는 여러 짧은 요소로 구조화되어 있어 집단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승
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혹등고래의 노래에서 각 요소가 인간의 언어처럼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라고 말했다 ... ...
[주말N수학] 2000년 동안 서구 문명 지배한 '유클리드 기하학'
수학동아
l
2023.06.17
. " 네 맞아요. 에우클레이데스가 기원전 3세기쯤 '원론'을 펴낸 이후 서구 전역에
전승
됩니다. 이집트에서 발굴된 기원후 1세기경 파피루스에도 학생들이 '원론'을 공부한 기록이 남아있어요. 9세기에는 이슬람의 학자들에 의해서 아랍어로 번역되었다가 12세기 스페인 톨레도에서 라틴어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보통과학자의 권리이자 의무는 '견제'
2022.03.24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적 민주화로 뜨겁던 1990~2010년대를 지나면서도 전혀 변하지 않고
전승
되었다. 군사독재 정권과 권위주의 정권은 물론 민주정부 모두에서 과학기술은 박정희 체제에서 성립된 국가주도의 도구적 관점 속에서 다루어졌고, 다루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바로 이런 패러다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사건들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초파리 유전학자의 계보도. 모건에서 시작된 전통의
전승
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노란색 원은 노벨상 수상자를 의미한다. 2017년 노밸상은 표시되지 않았다.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셜 네트워크까지 물려줘 ‘금수저’ 만드는 하이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8
사는 씨족 생활을 하며, 씨족의 지배자는 암컷이다. 암컷의 지위는 새끼 암컷에게 그대로
전승
된다. 수컷은 어른이 되면 무리를 떠나야 하며, 다른 무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암컷의 허락을 받아야 짝짓기를 할 수 있다. 그간 하이에나 무리에서 암컷의 막강한 지배력은 암컷의 사회성에 기인한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경쟁과 불평등의 이데올로기
2021.02.11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다시 부와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승자독식사회가 세대를 통해
전승
된다. 결과적으로 능력주의 명제는 능력의 차이가 마치 개인의 내재적 특성인 것처럼 간주되면서 사회계급의 효과를 의도적으로 외면한다. 세 가지 변화중에서 엘리트의 지배가 정당화되는 현상은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것도 아쉽습니다. 기초과학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큰 영향을 끼치고 그것이 널리
전승
되어 인류 지식의 거대한 바다에 조금씩 기여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를 합니다. 알아주는 사람이 없거나, 시장에서 팔리지 않아도, 작가가 소설을 쓰고 화가가 작품을 그리는 마음과 같습니다. ... ...
국내 최초 PC 'SE-8001' 중요과학기술자료로 등록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활동을 보여주는 과학기술자료들이 사라지지 않도록 잘 보존하겠다”며 “미래세대에
전승
하기 위한 국가적 과학기술자료 보존∙관리 시스템이 첫 발걸음을 떼었으며 앞으로 힘차게 달려나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
2019.07.19
공동체적 문화가 필수적이다. 실험실의 문화에서 테크니션의 암묵지와 그
전승
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역사가 민중사로만 이루어질 수 없듯이, 실험실도 테크니션만으로는 과학지식을 생산할 수 없다. 과학자와 테크니션의 조화로운 관계야말로, 현대 실험실의 성공조건이다. 역사학자 ... ...
[이철민의 돈테크무비] 거장은 ‘저주받은 걸작’을 꿈꾸는가?
2017.11.05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 것이다. 거기에 전편의 비주얼 아트까지 그대로
전승
한다면 걸작의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본 듯 하다. 그러나 드니 빌뇌브의 속편은 철학적으로 비주얼적으로 단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한 체, 너무 큰 기대를 받으며 대중들에게 공개되었다. 무엇보다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