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침표
터미네이터
종료프로그램
구두점
d라이브러리
"
종지부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둑잡는 복잡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마약과의 전쟁’. 수개월에 걸친 경찰의 대대적인 소탕으로 뉴욕의 마약 범죄는
종지부
를 찍는 듯 보였다. 그러나 얼마 뒤 뉴욕 경찰은 더 큰 곤욕을 치러야 했다. 소탕 작전으로 마약 유통량이 줄어들면서 마약의 가격 상승을 초래했고 높은 이윤에 눈이 먼 갱단들이 더 대범한 수법의 범죄를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톰보가 1930년 사진자료를 분석하다가 우연히 명왕성을 발견함으로써 80년에 걸친 논란에
종지부
가 찍히는 듯 했다. 그러나 명왕성은 질량이 달의 1/5 정도밖에 안되는 빈약한 천체라, 로웰이 생각했던 것처럼 천왕성이나 해왕성의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명왕성은 로웰의 ‘행성 X’가 아니었다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주장했고, 커티스는 우주가 그보다는 훨씬 더 크다고 반박했다. 4년 뒤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은 인물이 허블이었다.1923년부터 2년 동안 허블은 안드로메다자리의 거대 성운인 M31에서 세페이드변광성을 관찰했다. 1912년 하버드대 천문대의 헨리에타 리비트는 세페이드변광성의 변광 주기와 최대 광도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활공하다 날게 되었다는 ‘활강’(tree-down)설이다.미크로랍토르는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이 공룡의 깃털은 분명 활공에 적합하지 땅 위를 빠르게 달리기 위한 구조는 아니다. 뒷다리의 깃털은 빠른 달리기를 방해했을 것이다.또 다른 의미 있는 공룡은 2004년 발견된 원시 티라노사우루스류인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산맥체계’와 ‘산경표의 백두대간 체계’사이의 과학적 증거 없는 논쟁에
종지부
를 찍기 위해서, 필자를 비롯한 국토연구원은 1995년부터 모아 온 자료들을 정리하고 지난 1년간 연구 끝에 새 산맥지도를 내놓게 됐다.이 연구를 시작하면서 맨 먼저 산맥에 대한 정의를 훑어보았다. 이제껏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구성하는 원자의 크기를 계산했고, 결국 원자는 실재한다는 것을 밝혀 원자론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페렝은 이 연구로 192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는데, 선정 발표문에도 그의 연구가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에 관한 이론을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나왔음이 밝혀져 있다.▼관련기사를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Quark)라고 이름 붙은 한줌의 입자들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쿼크는 물질의 형태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물질-분자-원자-소립자-쿼크의 구도를 이룬다. 그는 이 발견으로 주기율표를 만든 멘델레예프에 비유돼 ‘20세기의 멘델레예프’라고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잘 얼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런 결과과 화성에 액체상태의 물 존재 여부의 논란에
종지부
를 찍지는 못했다. 간접적인 증거이기 때문이다.화성생명체 후보는?화성에는 어떤 생물이 살 수 있을까. 1800년대 말 사람들은 화성에 운하를 건설할 만큼 뛰어난 기술과 지능을 가진 화성인이 살고 있다고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드디어 우리은하 중심에 숨어있던 거대블랙홀의 꼬리가 밟혔다. ‘네이처’ 10월 17일자에는 우리은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를 포착 ... 예상됐지만, 논란이 있어 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연구결과는 이런 논란에
종지부
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
생명체 논란 끊임없는 붉은 별 화성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최근 영국 BBC방송은 1997년 화성 착륙선 패스파인더가 찍은 착륙지점 부근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엽록소로 보이는 스펙트럼 징후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추후 정밀 ... 화성인이 만든 운하로 착각하면서 시작된 붉은 별의 생명체에 대한 논란은 해피엔딩으로
종지부
를 찍게 될지 모른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