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아래 암석의 자기 정보를 분석해 판이 움직이는 속도와 각도, 방향 같은 정보를 이용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각각 조금씩 다르다. 태평양 동부 남반구 부분의 해양판인 나스카판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빠르지만, 대서양 한가운데 위치한 ... ...
- 전염병 모형 만드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집단의 사람 수를 알 수 있는 미분 방정식을 세운다. 이렇게 복잡한 미분 방정식은 주로 컴퓨터를 이용해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 해석한다. 감기는 SIS 모형, 메르스와 신종플루는 SEIR 모형으로! 가장 흔한 전염병인 감기는 주로 바이러스 때문에 걸리는데, 감기의 원인이 ... ...
- [뉴럴링크] 텔레파시를 현실로, 일론 머스크의 꿈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연구한다. 과연 머스크가 발표한 뉴럴링크의 기술력은 진짜일까. 뉴럴링크는 뇌와 컴퓨터를 어떻게 연결했고, 이 기술은 얼마나 대단한 걸까. 뉴럴링크를 통해 BCI 분야의 최신 성과를 들여다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뉴럴링크] 텔레파시를 현실로, 일론 머스크의 꿈Intro. 일론 머스크,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있기까지 BCI 50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973년 뇌와 컴퓨터를 연결한다는 개념이 탄생한 이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 분야는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덕분에 생각으로 사물을 움직이고, 말 없이도 생각을 나누는 이른바 ‘텔레파시’ 기능을현실에서 구현 할 수 있게 됐다. BCI기술이 어떤 흐름을 거쳐 뉴럴링크가 나올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오스캄이 시도한 방법은 척수에 다리를 움직이는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이었다. 이때는 컴퓨터로 원하는 움직임을 입력하면 전기 자극이 가해지는 방식이었다. 본인의 생각이 아닌 외부 자극으로 움직이니, 오스캄에게는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졌다. 연구팀은 오스캄의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 ...
-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있는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 유용하다. 트리맵은 1990년 미국 컴퓨터과학자 벤 슈나이더만이 항상 꽉 차 있는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어떤 파일이 들어 있는지 궁금해 다양한 방법으로 하드디스크의 상태를 나타낼 방법을 찾다가 고안한 것이다. 여기서는 2023시즌 KBO에서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페이지의 이미지는 은하단의 형성과 진화 과정을 나타낸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다. 컴퓨터는 격자 프레임 하나하나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은하단속 암흑물질과 주변 가스의 흐름을 계산해 색으로 정보를 표현했다. 인류의 역사 내내 과학과 예술은 우주를 주제로 교차한다. 그렇게 탄생한 아름다운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차수’라 불리고 있습니다. 조합론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크기 정도를 사용해 왔고 컴퓨터가 발전한 후로는 알고리즘들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할 때 크기 정도를 많이 사용하면서 계산 차수라는 이름으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두 표현 모두 알고리즘에 특화돼 쓰이는 경우도 ... ...
-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 세계 사람들을 충격에 휩싸였지요. 세계에서 가장 체스를 잘 두는 사람이 처음으로 컴퓨터에게 진 순간이었습니다. 이어진 경기에서 딥 블루는 2번 비기고 3번 지며 전체 경기를 2대 4로 패배해요. 다음 해인 1997년 5월, 더욱 발전한 딥 블루와 카스파로프의 재대결이 이뤄졌어요. 딥 블루는 첫 번째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학습하며 지도를 완성합니다. 로봇 내부에 설치된 컴퓨터는 사람의 뇌 역할을 해요. 컴퓨터는 앞서 얻은 주변 정보를 이용해 측위, 인지, 제어라는 3단계를 거쳐 경로를 탐색합니다. 측위는 GPS와 카메라 등으로 얻은 정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이에요. 인지는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