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RSA 암호의 미래는?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것이다. 결과적으로 리베스트, 샤미르, 아델만이 RSA 암호를 개발한 공로로 2002년
컴퓨터
과학의 최고 상인 ‘튜링상’을 수상해 그들의 이름이 역사에 길이 남게 됐다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하는 것이다. 이때 관여하는 관절을 파악하고 여기에 적합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컴퓨터
공학 지식이 필요한 지점이다.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보자. 전신제어를 하기에 앞서 현재 몸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팔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팔짱을 끼고 있는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있는가? 이 위치를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생각돼 왔다. 그런데 수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가 발달하면서 정수론을 이용해 여러
컴퓨터
기술을 만들 수 있다는 실용성이 입증돼 최근에는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특히 소수는 암호와 보안에 많은 역할을 함으로써 소수 연구에 많은 학자가 뛰어들고 있다. 암호에 관한 소수 이야기는 Chapter5(7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푸는 건 비공개 개인 키를 가진 사람만 할 수 있다.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건 슈퍼
컴퓨터
를 이용해도 몇 년이 걸리므로 비공개 개인 키를 알아내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리만 가설이 증명되면 RSA 암호에 어떤 영향을 줄까. 정답은 ‘큰 영향은 없다’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리만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사용하는 정보는 140자리 이상의 소수를 이용해 암호화하는데 이를 해독하려면 슈퍼
컴퓨터
로도 약 1만 년이 걸린다고 한다. 이 때문에 RSA 암호체계는 가장 안전한 암호체계로 불리고 있다. 대칭키 암호와 비대칭키 암호란? 고대 로마 시대 때부터 쓰였던 암호는 암호를 만드는 암호화키와 암호를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말한다. 사실 재판 예측을 연구한 역사는 매우 길다. 1963년에 리드 롤러라는 학자가
컴퓨터
를 이용한 재판 예측 기법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 분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재판 예측 연구에는 그동안 다양한 방법과 기술이 동원됐다. 그중 의미 있는 성과는 2004년에 앤드류 마틴 등이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커피가 얼마나 균일하게 추출되는지 실험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 커피 입자의 크기, 커피 추출 방식 등에 따라 커피의 농도가 달라 기존 브루잉 컨트롤 차트에는 한계가 존재함이 드러났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찾은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로빈슨이다. 그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스왁(SWAC)’이라는 초창기
컴퓨터
를 이용해 뤼카-레머 판정법을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스왁은 10억 자리의 수를 2개 더하는 데에 64탎(1탎는 100만분의 1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로빈슨이 찾은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한 달 뒤, 가워스는 뜻을 함께한 호주의 과학자이자
컴퓨터
개발자 마이클 닐슨과 함께 ‘폴리매스(Polymath)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받아 어떤 문제를 폴리매스 문제로 선정할지 정했다. 그렇게 문제를 정해 공개하면 누구나 댓글로 문제 해결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떻게 하면 넘어지지 않고 잘 달릴 수 있는지 일일이 알려준 게 아닙니다. 그저
컴퓨터
가상 환경에 실물과 똑같은 가상 로봇을 만들고 무한 반복으로 달리게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하운드는 달리기 비법을 스스로 터득했습니다. AI 강화학습의 성과입니다. 그런가 하면 일본 도쿄대 연구팀이 작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