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케이블"(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워즈 두 개의 태양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움직일 수 있어 스패너 같은 각종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요. ISS에 도착한 표도르는 전기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우주인의 임무를 도왔지요. 표도르를 우주로 보낸 러시아 우주국은 “앞으로 로봇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우주유영처럼 위험한 업무는 휴머노이드가 할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비가 스며들지 않도록 필사적으로 노력해 장비를 발사대 지하로 옮겼다. 하지만 배관과 케이블 설치가 한창인 지하 장비실 안은 온도와 습도, 분진에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무리하게 진행된 작업은 결국 문제를 일으켰다. 장비 설치 후 작동시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제조사의 엔지니어가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설계국은 1단의 구조 설계에 맞게 다양한 조립장치(어셈블리)들을 개발했다. 지상 케이블과 파이프라인을 발사체에 탑재된 부품들과 연결해주는 조립장치, 발사체 1단과 2단의 전력과 유공압 배관을 연결해주는 조립장치 등이 나로호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제작은 블라디미르주 코브로프시에 있는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비교적 높다. 해미래 개발을 이끌었던 이판묵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케이블로 연결돼 작동하는 해미래는 움직임에 제약이 있다”며 “로봇 기술이 많이 발달했지만 아직은 사람이 직접 탐사하는 것에 비하면 부족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6000m급 무인 잠수정과 유인 잠수정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등으로 제작된 에피소드가 무려 1000여 편에 이른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지상파와 케이블을 통해 몇 차례 방영됐으나 그다지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필자는 그 이유가 ‘스타트렉’의 모든 에피소드에서 도입부로 등장하는 다음 문구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주, 최후의 개척지(frontier). 우주선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체험하며 태국의 새로운 면모를 경험했다. 호수를 가르는 수상 레포츠 ‘카이트 케이블’, 강을 따라 사원과 왕궁의 야경을 감상하는 ‘크루즈 투어’, 태국의 전통 생활양식 물물교환의 흔적이 남은 ‘수상시장’, 연꽃, 소금쟁이, 물고기, 소라를 관찰했던 ‘연꽃 습지’ 등, 탐사대원들은 각종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이다. 이외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이 연결돼 있다. MS는 “이 정도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 데 90일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말했다.데이터센터 내부 공기는 질소로만 채웠다. MS는 “데이터센터가 고장 나는 원인 중 하나는 장비들의 산화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돼 강제로 물청소를 했다. 또 한번은 협력업체 직원이 센서에 연결된 선을 정리하다가 케이블 타이 대신 센서의 선을 잘라버려 애를 먹었던 적도 있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2014년 7월 7t급 터보펌프의 실매질 시험을 국내 최초로 수행하는 데 성공했다. 안도할 틈도 없이 연소기 연소 시험설비에서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해저 케이블이 전남 진도에서 제주도까지 설치되기도 했답니다. 와! 이젠 전기를 보내는 케이블까지 전세계로 연결된다니, 내가 살던 때의 실크로드와는 완전히 달라졌구나! 앞으로 실크로드가 또 어떻게 바뀔지 정말 기대 돼! 또 다른 실크로드가 등장하면 그때 또 친구들을 찾아올게! 어과동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대형 선박이 여러 대 오가기는 어려워요. 또 기둥 사이의 거리를 더 벌리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설치하는 주탑이 높아져야 하는데, 이 지역은 홍콩국제공항과 가까워 건축물의 높이가 최대 88m까지로 제한돼 있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은 해저터널을 지었어요. 강주아오 대교의 가운데에 6.7km 길이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