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화약"(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파쇄하면 콘크리트 잔재가 수중에 가라앉아 수거하기가 쉽지 않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화약 성분들은 그 자체로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고, 강이나 조류의 흐름을 바꿔 여러 환경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절단 뒤 인양이 어려운 상황이 아니라면 절단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쫓아다니던 어느 날, 해밀턴은 군사공학자였던 아버지가 토끼 구멍 속에 숨겨 놓은 총과 화약들을 우연히 발견했다. 남동생을 불러다 앉힌 다음, 원료를 이것저것 섞어서 놋쇠 탄약통에 재워 넣고 반응을 살펴보는 실험을 했다. 쾅! 탄약통이 폭발했고 해밀턴은 까무러쳤다. 장시간에 걸친 수술로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분열방식은 많은 양의 우라늄과 플루토늄이 필요하고, 반응을 시작할 때도 적지 않은 화약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반면 증폭형은 소형화가 쉬워 대륙간탄도미사일에도 장착이 가능하다.폭발 규모로 어렴풋이 추측하는 것 외에, 보다 확실한 방법은 없을까. 대기 중 제논의 동위원소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임계질량에 도달해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로 포신형폭탄은 폭발 직전에 화약을 터뜨려 두 덩이를 합친다. 별도의 구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계가 아주 쉽고 실패할 확률도 매우 낮다.우라늄 폭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라늄-235가 90% 이상인 고농축 우라늄이 필요하다. 하지만 ... ...
- [특별 인터뷰] 개구쟁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직접 화약을 만들어 로켓을 날려 봤어요.로켓을 날린 것까지는 문제가 아니었지만 남은 화약에 몽땅 불을 붙인 것이 문제였답니다. 큰 폭발이 일어났고 온 동네에 난리가 났지요. 그런데 부모님께서 크게 혼내진 않으셨어요. 물론 크면서 전혀 혼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호기심을 해결하려고 한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행복도 오래가지 않았어요. 20세기 초 독일의 화학자 하버가 초석과 구아노 없이도 화약과 비료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하며 두 광물의 인기가 사그라들었거든요. 결국 칠레의 경제 역시 쇠퇴하며 남미 태평양전쟁의 진정한 승자를 가릴 수 없게 됐답니다. 화해의 상징이 된 코끼리 똥똥이 얼마나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3층에 설치됐던 것인가A 천자·지자총통은 다른 두 포에 비해 무게가 무겁고 포탄이 크다. 화약 소모량도 각각 30냥, 20냥(대략 1.13kg, 750g)으로 다른 두 포에 비해 5~10배 많다. 지름 3cm가 넘는 철포탄을 300m 넘게 날릴 수 있는 위력이다. 그러다보니 포를 쏠 때 엄청난 충격량이 발생했을 것이다. 만약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장뇌는 녹나무를 증류시켰을 때 나오는 고체물질이에요. 여러 번의 실험 끝에 하이엇은 화약을 만들 때 사용하는 ‘질산섬유소’를 장뇌에 섞으면 매우 단단하면서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기 쉬운 재료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이 최초의 천연 플라스틱인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내뿜는다. 한 번에 7가지 냄새를 장비에 담을 수 있는데, 현재 불, 바다, 정글, 공장, 화약, 커피, 꽃, 고기, 양주, 딸기, 최음제, 향수 등 22가지 냄새를 보유하고 있다. 냄새뿐 아니라 진동과 습기도 느낄 수 있다. 가상현실에서 바다로 뛰어들면 미세한 진동과 함께 축축한 습기를 뺨으로 느낄 수 있다.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이 소행성은 탄소질이 많은 C타입의 소행성이야. 하야부사2는 소행성 근처 100m까지 가서 화약을 터뜨리며 구리 원반을 발사하게 돼. 이때 생긴 폭발로 깨져나온 소행성의 성분들을 캡슐에 담아오는 게 목표야.하야부사2는 지난 2010년 소행성의 샘플을 가져오는데 성공한 하야부사 탐사선의 두 번째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