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폭약
폭발물
연초
흑색 화약
탄약
폭탄
d라이브러리
"
화약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갈비뼈가 덜 발달해 부러질 수 있다. 일부 안전띠는 충돌 시에 버클과 벨트 이음새에서
화약
이 터지면서 안전띠를 순간적으로 (12ms 동안) 잡아당겨 승객을 1.2~1.7KN의 힘으로 압박한다. 약 100kg의 무게로 가슴을 누른다는 뜻이다. 윤용찬 팀장은 “15~16kg의 어린이는 4~5점식인 카시트(베이비시트)에, 16~3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개만 들면 선명하게 보이는 북녘의 땅과, 잊을 만하면 신선한 바다 공기에 스며드는
화약
냄새는 아름다운 풍경을 그저 아름답게만 바라볼 수 없게 한다. 얼마 전에도 연평도에서 북한의 포격으로 고귀한 생명이 희생돼 온 국민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북한군의 포격이 있기 불과 두 달 전에 찍은 ... ...
종이 파이프로 만든 예술작품 파이프로이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종이는
화약
, 나침반과 함께 중국이 만든 3대 발명품이다. 만약 종이가 없었다면 인류의 수많은 문화유산들이 기록되지 못하고 사라졌을 것이다. 최근 종이는 더욱 많은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종이로 탁자와 의자, 패션쇼 무대에 오를 드레스를 만든다. 심지어 건축 재료로도 쓰인다. 종이로 ... ...
지구를 탈출하는 꿈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계산했다. 지구의 중력을 탈출하려면 대포알을 어느 정도의 속도로 쏘아야 하는지,
화약
은 얼마나 써야 하는지, 대포의 길이는 얼마나 돼야 하는지 등 소설 속에 등장하는 수치는 모두 수학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대포알을 우주로 보내려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쏘아야 할까? 지구 위의 물체는 모두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교과부는 2월 나로호 1차 발사 실패 이유로 페어링을 분리하는
화약
이 터지지 않았거나
화약
은 정상적으로 터졌지만 페어링을 분리하는 기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페어링을 제외한 나로호의 나머지 부분은 1차 발사에서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내놨다. 애플도 군침을 흘렸던 모바일 광고업체 ‘애드몹’을 구글이 인수하면서
화약
고는 또 한 번 터졌다. 애플은 또 다른 모바일 광고업체인 ‘쿼트로 와이어리스’를 인수해 맞대응했다. 스티브 잡스는 사내 미팅에서 “구글이 아이폰을 죽이려 한다. 우리는 그들을 내버려두지 않을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되지 않는다. 그 중심에는 바로 ‘검은 황금’ 석유가 있기 때문이다. 중동은 세계의
화약
고이자 세계의 생산고였다. 중동의 조그마한 뉴스 하나는 전 세계 원유 값의 흐름을 매일같이 바꾸며 세계 금융과 국가 경제, 각 기업의 전략까지도 통째로 흔들곤 한다.수십만 년 전에 만들어져 땅속에 감춰져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넓으면 그만큼 많은 산소가 쉽게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져요. 그래서
화약
처럼 펑~ 하는 소리를 내며 폭발하는 거죠. 이번 사건도 대야에 담아 두었던 밀가루와 쌀가루가 선풍기 바람에 날려 공중에 퍼지면서 표면적이 넓어졌고, 많은 산소를 갑자기 만나 폭발한 거예요.”사건 분석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갖췄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신기전이 로켓의 원리로 날아가는 반면 사전총통은
화약
이 폭발하는 힘으로 화살을 밀어낸다는 차이가 있다. 사정거리 역시 200m 정도로 소신기전과 큰 차이가 없다. 세종 14년 완성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또 사전총통은 신기전과 유사한 형태로 연속발사가 ... ...
인류에 대한 공헌자와 전범이라는 두 가지 얼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아이러니하다. 암모니아 합성에 성공한 하버의 연구 덕택으로 독일은 1차대전 중
화약
원료인 질산을 자급할 수 있었다. 하버의 연구 공간에서는 새로운 독가스의 개발과 사용법은 물론 , 독가스로부터 군인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들의 개발도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