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느러미"(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밟으면 사망할 수 있는 물고기, 스톤피쉬기사 l20221223
- 몸의 색은 서식지에 따라 다릅니다. 위장 상태에서 작은 물고기가 지나가면 집어 삼키기도 합니다. 스톤피쉬는 머리 위쪽과 등지느러미 돌기에 독가시가 있습니다. 독은 상당히 위험하며, 사람도 쏘였을 경우 빠르게 해독을 하지 않았을 시 사망할 수 있습니다. 등줄기에 12개 ~ 14개의 맹독성 독침을 가지고 있으며 찔릴시에는 즉각적인 호흡곤란 / ...
- 짱뚱어의 특징기사 l20221206
- 짱뚱어가 지느러미를 세우는 것은 공격 자세입니다. 짱뚱어는 망둑어와 종종 다투기도 합니다. 짱뚱어는 망둑어와 달리 몸에 푸른 반점이 있고 눈도 더 몰려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망둑어가 육식을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짱뚱어는 낙지와 비슷하게 굴 속에 알을 낳습니다.하지만 짱뚱어의 알들은 단백질이 풍부해서 갯벌 생물들이 노리는 영양식 입니다. ...
- 웃는 고래 상괭이기사 l20221204
- 예로 부터 흔하게 발견되던 종이다 보니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2. 모습 상괭이는 머리가 뭉툭하고 등지느러미가 없습니다. 일반적인 돌고래와 비교 하자면 앞으로 툭 튀어 나온 주둥이가 없고 둥근 앞머리 부분이 입과 직각을 이루고 있어 일반 돌고래와 겉모습이 다릅니다. 3. 종류 상괭이는 돌고래 같은 크기를 가졌지만 사실 고 ...
- [이럴줄알고]엄청 웃긴 유머글포스팅 l20221113
- 사람모양 표지판 밑에 상어를 그려놨지~~~ 회장:이럴줄 알고~~~ 내가 그 상어밑에 막대기를 그려놨지!!! 사실 이 상어는 상어가 아니라 지느러미만 있는 낚시도구야~~~ 부회장:이럴줄 알고~~~ 내가 표지판 스티커를 떼면 여자화장실이 나오게 해놨지!!! 이친구야 사실은 비상문으로 둔갑한 여자화장실이야 큰일나요~~~ 회장:어 고마워. 야동을 직접 ...
- 지사탐 부산 바닷물고기 현장교육기사 l20221022
- 닮은꼴입니다. (참고로 우럭은 조피볼락입니다) 줄새우아재비 미역치(독이 있음) 자결통만큼 아프다는 물고기 입니다 배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에 독이 있어요. 관상용으로 인기있는 종이고, 먼저 공격하진 않는다고 합니다 뿔물맞이게 이번에 하이라이트는 왕관해마!!!!!! 라고 하네요~ (총56종 우리나라에 8종) 해마는 새 ...
- 해마가 나온다고? 바닷물고기 현장교육 [부산 기장]기사 l20221013
- 이 물고기는 '문절망둑'입니다. 저의 기사인 '기수역에 사는 물고기'에 풀망둑과 문절망둑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꼬리지느러미에 무늬가 있으면 문절망둑, 없으면 풀망둑! 이 물고기는 '청돔'입니다. 감성돔과 비슷하지만 청색줄이 몸을 가로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물고기는 '동갈양태'입니다. 이 때 지사탐 친구들이 떠나고 낚시꾼이 낚 ...
- 지사탐 10기 바닷물고기 현장교육에 다녀오다.기사 l20221011
- 스트레스나 위협을 줘서 독이 있는 등지느러미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연구원님은 독이 있는 등지느러미 가시에 안 찔리는 방법을 알고 있으셔서 미역치의 독에 안 당하시고 잡는 것이 신기하고 저도 해보고 싶었습니다. 보라성게를 관찰하다. 세 번째는 보라성게입니다. 보라성게는 연구원님이 직접 채집 ...
- 코코러브 - 221008 - 2탐사기록 l20221008
- 미역치연구원 선생님 팁!등, 배, 가슴지느러미에 있는 독가시에 찔리면 자결통 만큼 아프다.색깔이 예뻐 관상용으로 인기 있으며 공격적이지는 않다 ...
- 자기 뇌와 신경을 먹는 생물이 있다고?기사 l20220927
- 바로 이 멍게에요. 멍게는 척삭동물문 멍게과에 속하는데, 어린시절엔 올챙이와 비슷한 모습이에요. 멍게유생은 안점, 후각계, 뇌, 지느러미, 신경 등을 가지고 적당히 살곳을 찾아다녀요. 시간이 지나 멍게가 성체가 되면 한 곳에 정착해 살게되지요. 그리고 민감했던 기관들은 모조리 스스로 소화해 퇴화시킨답니다. 여기엔 뇌도 포함되어있으며 흔적만 남 ...
- 스피노사우루스의 대한 거의 모든 것 ꧁༺합본༻꧂기사 l20220924
- 것이다. 스피노사우루스의 특징 중 하나, 일명 돛이라고 불리는 신경배돌기의 정확한 용도는 불명이지만 체온 조절이나 짝 유혹, 지느러미같은 역할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단 단점은 신경배돌기의 뼈대가 척추와 연결되어 있어 달리다가 구르게 될 경우 척추가 박살날 수도 있다. 2014년 이후 신경배돌기의 배열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다. 이전까지는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