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동"(으)로 총 10,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착용하면 망막 검사 끝…OLED 콘택트렌즈 첫 구현동아사이언스 l2025.08.12
- 교수 연구팀이 분당서울대병원, 포스텍, PHI바이오메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무선 콘택트렌즈 기반 웨어러블 망막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게재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 ...
- 가속기 가동 중에도 이온 빔 변형 연구 가능해진다동아사이언스 l2025.08.12
- 포스텍,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저에너지 이온 빔의 진행방향 다발 형태를 비파괴적으로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정전용량식 이온 빔 번치 형태 모니터(CPU-BSM)’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CPU-BSM 기술은 비상대론적 이온 빔이 ... ...
- "과학기술 인재 유출 막아라"…범정부 민관 협력 TF 가동동아사이언스 l2025.08.12
- 포괄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공동으로 TF 위원장을 맡았다. 과기정통부, 기획재정부, 법무부, 국방부 등 9개 부처의 실장급 인사와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단을 꾸렸다. 과기정통부는 7월 초부터 관계 부처 국장급 실무 TF도 운영하고 ... ...
- [재생의료 최전선]⑨ 세포 융합으로 병든 세포 되살려 난치병 '완치' 도전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임상 2상까지 진행하고 이후 글로벌 제약사에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한다. 해외 제약사와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식도 병행해,개발 비용과 위험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성 대표는 “세포 융합 치료제는 희귀·난치성 질환뿐 아니라 고령화 사회에서 급증하는 퇴행성 질환에도 ... ...
- [사이언스게시판] 제15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外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경희대, 고려대 등 기술핵심기관과의 공동 사업 추진으로 투자 연계 659억 원, 기술이전 110건, 신규창업 76건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내년부터 기획형 창업 프로그램 운영, 병원 연계 및 임상 기술이전 사업화 등 2단계 특화발전 프로그램을 시행할 예정이다. ... ...
- "어릴 때 친절한 아이, 청소년기 과일·채소 더 먹어"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아이들은 10대 시절에도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공동저자인 줄리안 K. 뵘 채프먼대 심리학과 교수는 "아이의 친사회적 행동은 기본을 좋게 하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심리적 기능을 개선한다"며 "이 모든 것은 건강과 관련한 선택에 영향을 줄 수 ... ...
- 고용량·고속충전 하이니켈 전지, 공정 혁신으로 수명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UCLA) 박사후연구원, 서정우 UNIST 박사과정생. UNIST 제공 한국과 미국 공동연구팀이 차세대 고용량·고속충전 전지의 핵심인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수명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현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빛 자유자재 조종하는 메타렌즈, 공장에서 바로 찍어낸다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안지환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가시광 전 영역에서 작동하며 기존 반도체 공정과 호환되는 고효율 메타표면 제작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메타렌즈는 일반 유리 렌즈와 달리 아주 얇은 표면에 빛을 조절하는 미세한 구조를 ... ...
- 화재 위험없는 전고체 전지 불안정성 잡았다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전지는 250회 충방전 반복 후에도 92% 이상의 전지 용량을 유지했다. 전기연은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상용 전지 제조 공정까지 발전시켜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남 선임연구원은 "리튬금속 음극 보호를 위한 중간층 설계와 전사 공정 기반의 대면적 확장 가능성을 ... ...
- 통증·온도 느끼는 세포 신호 제어하는 '전기 스위치'동아사이언스 l2025.08.11
- 차세대 의료기술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 KAIST는 박지민,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일산화질소(NO)와 암모니아(NH₃) 등 불안정하거나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생체 신호물질을 전기 자극만으로 원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합성하고 세포 반응의 시작·지속·종료 시점을 제어하는 기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