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명
공감
동조
뉴스
"
공진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03.04
신호를 만들었다. 만약 액시온이 존재한다면 액시온이 만들어낸 전자기파의 주파수가
공진
기의 특정 주파수와 일치해 공명을 일으켜 신호가 증폭된다. 하지만 전자기파를 관측할 때 그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다는 양자역학 법칙 때문에 액시온이 방출하는 신호를 빠르게 ... ...
[의학게시판] 서울대병원-서울발달장애인지원센터,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정책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개최됐다. 피오나 키오 아일랜드 골웨국립대 교수와
공진
용 나사렛대 재활융합기술학과 교수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힘찬병원은 26일 오는 3월 인천 논현동에 ‘인천힘찬종합병원’이 개원한다고 밝혔다. 인천힘찬종합병원은 인천힘찬병원이 관절척추병원에서 ... ...
사람 귀 닮은 음성인식 센서 세계 최초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인터넷판 2월 12일자에 실렸다. ※
공진
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의 원리를 나타낸 동영상.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비
공진
방식 레이저 제작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연구팀이 ‘통발’ 구조를 응용해 불투명한 물질로 빛을 가두는 레이저를 개발했다.
공진
기 안에서 불투명한 산란체가 빛을 산란시키는 동시에 증폭시키는 원리를 이용해 기존 레이저에 쓰이는 투명 크리스탈 없이도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 ...
암흑물질 탐지시간 4분의 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3개월 정도 걸리던 탐색 시간이 4분의 1인 3주로 줄었다. 윤성우 IBS 연구위원은 “
공진
기의 디자인을 바꾸는 것만으로 실험 효율을 크게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기존 실험이 어떤 성과를 내는 데 4년이 걸린다면 이제 1년이면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파브리-페로’
공진
특성을 이용해 선명한 색을 투과시킬 수 있다. 파브리-페로
공진
이랑 여러 파장의 빛이 필터에 입사되면 특정 공간에서 다중간섭 현상을 일으켜 특정 파장만 투과시키고 다른 파장들을 반사해 원하는 데이터만 선별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IGZO층의 전하 농도가 ... ...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한 기기의 '떨림',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는 매우 짧은 영역의 진동수의 진동만 흡수할 수 있는 기존 하베스터보다 14배 이상
공진
주파수 영역이 넓은 것이다(위 논문 그림 중 오른쪽 아래 그래프). 송 선임연구원은 “구조가 간단하고 추가 에너지 소모 없이 스스로 고유진동수를 조절하는 최초의 기술”이라며 “무선센서나 입는 ... ...
공기 중 유해물질 바이러스 입힌 센서로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기판 속 컬러 센서 역할을 하는 구조가 특정 파장에
공진
을 일어나게 해 훨씬 선명한 빛을 띠도록 만들었다. 이를 이용해 물체를 감지하는 데 쓰이는 바이러스층의 두께를 60나노미터(nm·10억 분의 1m)까지 줄였다. 송 교수는 "바이러스층 두께를 줄이면서 다른 ... ...
빛으로 습도 측정하는 수분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이 필터를 태양전지와 결합해 수분 센서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설계 원리는 필터의
공진
파장을 태양전지의 흡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파장대와 겹치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 필터는 수분량에 따라 태양전지의 빛 흡수량이 변하고, 이 변화에 따라 전류변화로 이어져 주변 습도를 감지 할 수 ... ...
고화질 영화 1초에 1100편 내려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전송해 속도를 높였다. 마이크로콤은 금속으로 만든 두 개의 빗을 맞물리게 놓은 형태의
공진
기로 빗살이 진동하며 광자를 만들어 레이저 광원처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연구팀은 호주의 국가브로드밴드네트워크(NBN) 통신망에서 이용하는 시스템을 모방해 RMIT와 모나쉬대 사이 76.6km 길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