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명
공감
동조
뉴스
"
공진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리 쏘아 세포의 말랑함 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이용해 단일 세포 질량을 측정하는 저울이다. 미세채널을 갖는 막대기 형태의
공진
기는 크기와 질량에 따라 고유의 진동수를 갖는데 질량이 변화면 이 진동수도 변해 저울처럼 쓸 수 있다. 세포 무게의 만분의 1 수준인 펨토그램(fg, 1000조 분의 1g) 차이를 잡아낸다. 세포를 미세채널 속에 담긴 유체에 ... ...
서울대 공대생들, EDISON 경진대회서 대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회전수에 맞게 일어나는 진동이 후방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해 엔진 진동에 의한
공진
이 파손의 주원인임을 밝혔다”고 말했다. 에디슨 소프트웨어 활용 경진대회는 계산과학공학을 활용해 이공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에디슨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검증하며 ... ...
韓·日 연구진, 세계 최고 광도 반도체 레이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이중 격자 광결정’으로 불리는
공진
방식의 방열 집적기술을 적용해 반도체 레이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송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광소자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다물질 ... ...
초음파 센서 성능 3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때(파란 원)에 비해 출력이 3배 이상 증폭됨을 확인했다. -서울대 제공 김 교수는 “
공진
기를 붙이면 센서가 부착된 주변의 기계적 저항을 사실상 0으로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며 “이 기술은 사물인터넷 핵심 기술인 센서 기술에 바로 접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시간 기계 진단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한계 값이 개선돼 분해능이 좋아진다. 연구진은 음향 메타렌즈 내부에서 두 번의
공진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하고 기존의 보다 회절한계값이 4배 향상된 메타물질을 제작했다. 이를 이용해 두께 변화가 필요없는 단일 렌즈로 4배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결국 지문에 ... ...
국내연구팀, 큐비트 정보처리 개선하는 물질 현상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않에 남긴 뒤 빠져나가는 데, 순식간에 수많은 원자를 이와 같이 통과시켰다. 그 결과
공진
기 내 먼저 지나간 원자가 남긴 개별 광자가 뒤에 들어 온 원자가 내뿜는 광자들과 물리적인 간섭 현상을 일으켜 초방사 현상을 일으켰다. 김 박사는 “큐비트를 통한 정보는 빛이 매개한다”며 “원자들이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원인은 조용히 돌아가는 팬이 만들어내는 초저주파였습니다. 팬은 사람의 눈에
공진
을 일으키는 18.98㎐의 초저주파를 발생시켰습니다. 하트퍼드셔대학의 심리학자 리차드 와이즈만은 현대 음악 작품에 초저주파 음원을 적용한 뒤 관객에게 틀어줬습니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 ...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
과학동아
l
2017.09.30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주요 위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진
주기에도 수학적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중 하나인 ‘미마스’가 토성 주위를 2바퀴 돌 때마다 ‘테티스’는 1바퀴를 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가 2바퀴를 돌 때 ‘디오네’는 1바퀴를 ... ...
[카드뉴스]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6
차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큰 충격음의 경우엔 특정주파수 대역에서 공기층에
공진
이 일어나 오히려 소음이 더 커지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바닥 슬래브와 천장 구조 사이에 흡음재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절연용 앵커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천장의 진동이 바닥으로 바로 전달되지 ... ...
SF영화의 ‘레이저 무기’, 한 걸음 더 현실로!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제어해 원하는 방향으로 쏘아 보내기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레이저 무기는
공진
장치에서 나온 레이저를 반사경으로 제어해 발사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해 반사경에 변형이 일어나면 조준이 벗어나는 원인이 된다. 레이저 광선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려면 기후에 따른 대기의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