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늘
음영
영상
투영
환영
실루엣
음지
뉴스
"
그림자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겹쳐서 빠르게 이동하는 적혈구 확인...영상 복원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신뢰도가 높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홀로그래피 영상은 물체의
그림자
패턴으로부터 물체의 형태를 복원하는 영상 기법이다. 일반적인 영상 기술과 달리 위상 변화에 의한 물체의 미세구조를 감지할 수 있다. 의료영상, 군용 감시, 자율주행용 영상 등 다양한 정밀 영상 기술에 ... ...
새해 첫주 유성우·10월 부분월식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관측할 수 있다. 5월 6일에는 ‘반영월식’을 볼 수 있다. 반영월식은 달이 지구의 반
그림자
를 통과하는 천문현상이다. 2023년 10월 29일 부분월식 진행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일식은 4월과 10월에 일어난다.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일 때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져 보이지 ... ...
AI로 CCTV 분석해 생활권 미세먼지 정보 제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시각 정보로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려면 일조량 변화,
그림자
, 사각지대, 안개 등도 고려해야 했다. 특히 사각지대와 건물이 없는 하늘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기 어려웠다. 정 연구위원은 전후좌우의 추정값과 거리, 농도에 가중치를 둬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 ...
가려진 붉은 달 옆으로 고개 내민 천왕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그림자
에 부분적으로 가려지기 시작하는 부분월식은 오후 6시 8분께 시작됐다. 달이 지구
그림자
에 가장 깊이 들어가는 '최대식'은 7시 59분에 관측됐다. 이때 달의 고도는 약 29도로 동쪽에 시야가 트인 곳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었다. 월식 현상은 오후 9시 49분께 끝났다. 천왕성 엄폐는 오후 8시 2 ... ...
"지방소멸의 어두운
그림자
, 과학기술로 해법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김도연 울산공업학원 이사장이 8일 열린 '2022 과학기술인 국회 방문의 날'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이영애 기자 yalee@donga.com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려면 산학연이 구분짓지 말고 한몸처럼 돌아가는 골든 트라이앵글을 만들어야 합니다." 8일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열린 '2022 과학기술인 국회 방 ... ...
[과학게시판] 과총 '2022 과학기술인 국회 방문의 날'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천왕성을 가리는 천왕성 엄폐는 2015년 1월 25일 이후 약 7년 반 만에 일어난다. 지구의
그림자
에 가려진 달리 다시 천왕성을 가리는 현상은 백 년에 한두 번 일어날 정도로 드문 일이다. 지난 200년 사이 단 4회에 불과했다.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 동시 발생은 국내 전역에서 관측할 수 있을 예정이다. ... ...
8일 저녁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동시에...놓치면 200년 뒤에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6개월에 한 번꼴로 발생한다.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완전히 들어가면 개기월식, 지구
그림자
를 스치듯 통과하면 부분월식이라고 한다. 개기월식이 일어나면 달의 색깔이 붉게 보이는데 이는 태양 빛이 지구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빛은 산란되고 붉은빛만 통과해 달을 비추기 때문이다. ... ...
11월 8일 지구에 달이 가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완벽히 가려지면서 달 전체가 완전히 어두워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달이 지구
그림자
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오후 7시 16분 12초 시작된다.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 개기월식은 오후 7시 59분 6초 최대에 이른다. 이 때 달의 고도가 약 2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종차별에 기여한 학술지의 반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22
비과학적 사고방식이란 뜻을 갖고 있다. 네이처는 “인종차별은 과학에 커다란
그림자
를 드리운다”며 “유색인종과 역사적으로 소외된 다른 집단의 사람들은 과학 사업에서 배제됐고 연구는 차별적 사고를 뒷받침하는 데 사용됐으며 연구 결과는 소외된 사람들을 무시하고 인종차별을 더욱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
2022.08.17
카메라인 섀도캠도 주목을 끌고 있다. 달 표면에서 영구적으로 햇빛이 들지 않는
그림자
지역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장비다. 달 표면에서 액체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우주에서의 생명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크게 증폭될 수밖에 없다. 한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5일 발사 40분 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