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늘
음영
영상
투영
환영
실루엣
음지
뉴스
"
그림자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26일 달이 지구에 완전히 가린다...개기월식 일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아시아, 호주, 남극, 태평양과 인도양에서 볼 수 있다. 천문연은 “달이 지구
그림자
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 시각은 20시 18분인데 이 때 달의 고도가 약 6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남동쪽 지평선 근처 시야가 트여 있는 곳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개기월식 중인 20시 ... ...
화성의 첫 비행장 이름은 ‘라이트 형제 필드’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NASA)의 무인 헬리콥터 인저뉴이티가 첫 비행에 성공한 뒤 자신의
그림자
를 촬영했다. 아래에 보이는 화성의 땅은 '라이트 형제 필드'로 명명됐다.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소형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Ingenuity)’의 화성 첫 비행 성공을 기념하는 의미로 헬기가 뜨고 내린 화성 ... ...
조선의 천문장비 자격루·앙부일구 기념우표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오목한 솥 모양의 앙부일구 안쪽에는 시각과 계절을 표시하는 눈금과 바늘이 있다. 바늘
그림자
가 가리키는 눈금을 읽어 시간과 절기를 알 수 있다. 일성정의시는 세종 시대 독자적인 천문의기로 궁궐을 비롯해 지방에도 설치돼 낮에는 해를 관측하고 밤에는 별을 관측해 시각을 알 수 있게 만든 ... ...
"이제 인류가 다른 행성에서 비행했다고 말할 수 있다" 118년 만 지구 아닌 행성 하늘 정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내비게이션 카메라로 촬영해 보내온 흑백 사진에는 인저뉴이티의 두 날개와 네 다리가
그림자
로 선명하게 보였다. 퍼시비어런스가 지나가며 남긴 바퀴자국도 선명했다. 퍼시비어런스가 촬영한 사진에서도 바닥에 내려앉아 있던 인저뉴이티가 날개를 움직이다 하늘에서 나는 모습이 선명하게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역사적인 비행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NASA의 무인 헬리 인저뉴이티가 첫 비행에 성공한 뒤 자신의
그림자
를 촬영했다. NASA 제공. 화성 하늘에서 인류가 만든 헬기가 처음으로 날아올랐다. 1903년 라이트 형제가 12초간 동력 비행을 한 지 118년만에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이뤄진 첫 동력 비행이다. 미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 ...
화성 무인헬기 '인저뉴이티' 하늘 날았다...첫 동력비행 성공(2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NASA)의 화성탐사 헬리콥터 '인저뉴이티'가 자신의
그림자
를 찍어 보낸 사진이다. NASA 유튜브 캡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일 오후 7시 53분 화성 무인헬리콥터 '인저뉴이티(ingenuity·독창성)'가 첫 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화성 하늘에서 성공한 첫 동력 비행이다. 실제 시험 비행시각은 이날 ... ...
심장 덜컹, 집안을 훔쳐보는 괴한
팝뉴스
l
2021.03.28
?) 사진을 촬영해 공개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정말의
그림자
일까? 아니면 옆집 건물의
그림자
일까? 해외 네티즌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프리미엄 리포트]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3.27
블랙홀과 달리 커 블랙홀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2019년 인류 최초로
그림자
관측에 성공한 초대질량블랙홀 ‘메시에(M)87*’이 커 블랙홀이다. 커 블랙홀은 회전하고 있는 만큼 구조도 더 다양하다.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은 중심부의 특이점(Singularity)과, 특이점을 둘러싼 사건지평선으로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향했다. 2월 4일 오후 충북 예산군 광시면 예산황새공원. 땅에 갑자기 커다란
그림자
가 깔렸다. ‘위에 뭐가 지나가기에?’ 궁금해하며 고개를 들었다. 그때, 본 적 없이 큰 새 한 마리가 노을 진 하늘을 유유히 날아왔다. “저 새가 바로 황새입니다.” 이윽고 황새가 손을 뻗으면 닿을 것처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능력에 의한 평가는 과연 공정한가
2021.01.14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능력주의의 함정은 19세기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생물학에 어두운
그림자
를 드리웠던 우생학 논쟁과 똑같은 쟁점을 갖고 있다. 우생학이 생물학의 주류였던 당시, 우생학을 주장하는 이들은 대부분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었다. 한 부류는 적극적 우생학 혹은 음성 우생학(negative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