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티끌
입자
분자
미립자
극히 적은 양
조금
뉴스
"
극소량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존슨앤존슨 "활석 소재 베이비파우더 북미서는 판매 중단"
연합뉴스
l
2020.05.20
바 있다. 당시 검사 결과 발표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일부 제품에 대한 검사에서
극소량
의 석면 흔적을 발견한 직후에 이뤄졌다. 존슨앤존슨은 FDA 검사 결과에 따라 지난해 10월 일부 생산라인 제품에 한해 자발적 리콜에 나서기도 했다. 지구에서 가장 무른 돌인 활석은 베이비파우더 등 ... ...
GC녹십자지놈-셀레믹스, 코로나19 전장유전체 분석 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전체 영역의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0.01ng(나노그램. 1ng은 10억 분의 1g) 수준의
극소량
의 검체로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 시간은 7일 이내다. GC녹십자지놈은 “지속적인 염기서열 해독을 통해 돌연변이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에 대한 진단 기술과 치료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2A 수용체(왼쪽)에 달라붙어 작용한다. 특히 LSD는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잘 안 떨어져
극소량
으로도 효과를 낸다. DMT는 디메틸트립타민으로 몇몇 식물과 버섯에서 발견되는 사이키델릭 분자다. 박성규/MID 제공 약물 중독 치료에 효과 탁월 강력한 마약이라는 LSD는 중독성도 대단할 것 같은데 ... ...
원자력硏 창업기업 고효율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4
나노튜브 표면에 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팔라듐 또는 백금 나노입자
극소량
을 결합해 촉매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기존 기술에 떨어지지 않는 정화 성능 구현이 가능한 동시에 600도 이상 고온에서도 오랜 시간 정화 성능이 유지됐다. 값비싼 귀금속을 기존 기술에 비해 100분의 1에서 100 ... ...
'알약 몇 개만 꿀꺽' 몸 속에서 병 찾아 공격하는 로봇의료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약을 먹거나 정맥주사로 투입하는데 병에 걸린 부위까지 전달되는 약물은
극소량
이어서 치료 효능이 낮다. 새 캡슐내시경은 병을 발견하면 외부 전자기장에 따라 작동하는 장치가 약 분말을 섞고 가스가 만든 압력이 피스톤을 밀어내 약물을 방출한다. 연구팀은 병이 의심되는 부위를 염색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토록 황홀한 블랙을 본 적이 있는가
2019.09.17
한다. BMW 제공 “검은색은 색이 아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검은 물체는...물론
극소량
이기는 하지만 하얀빛을 반사한다.” -토마스 영 5년 전쯤 어느 날 볼 일이 있어 백화점에 갔다가 가전 코너를 지나가게 됐다. 한 매장 입구에 커다란 TV가 있었는데 옆으로 돌아가다 무심코 돌아보니 그사이 ... ...
백금보다 높은 수소 생산효율 가진 루테늄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전극 촉매 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이론적인 극한값에 근접한
극소량
의 에너지로 수소를 생성하는 전기 촉매를 개발했다. 현재 상업적으로 쓰이는 백금 촉매보다 수소 생산 효율이 높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김광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 ...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이는 복잡한 처리 없이 혈장을 그대로 이용했음에도 불구
극소량
샘플로부터 암세포 유래 나노소포체를 검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지난달 27일자에 발표됐다. 암세포가 커질수록 혈액 내 나노소포체 수가 ... ...
버려지는 폐열도 전기로 바꾸는 소재 상용화 성큼…더 저렴하게 친환경∙고성능 열전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다결정 셀레늄화주석을 관찰했다. 다결정 셀레늄화주석에
극소량
의 산화주석 나노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주석은 셀레늄화주석보다 열전도도가 약 140배 높은 물질로 소재 전체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다결정 셀레늄화주석의 열전성능이 크게 ... ...
KIST연구진, 세계 최고 수준의 독가스 제거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1만4581명이 다쳤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이른바 독가스로 불리는 화학무기는
극소량
으로 대량학살이 가능한 대량파괴 무기다. 각국은 ‘화학무기금지조약’을 맺고 생산과 사용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런 화학무기의 공격으로부터 독성을 제거하는 세계 최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