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티끌
입자
분자
미립자
극히 적은 양
조금
뉴스
"
극소량
"(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한방울로 알츠하이머·파킨슨·암 다 진단하는 시대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발맞춘 상용화 움직임이 활발하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폐암 유전자 돌연변이를
극소량
의 혈액으로 탐지하는 ‘EV-CLIP’ 기술을 개발해 병원용 키트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암·감염병 조기 진단용 나노센서를 개발해 피 한 방울로 다양한 질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 ...
유전자가위와 도핑검사가 만났다…
극소량
혈액만으로 도핑 빠르게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시스템으로 도핑 여부를 테스트했다. 생쥐의 혈액을 시스템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극소량
의 혈액 시료 5마이크로리터(μL·1μL는 100만분의 1L)로 체외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점을 90분 이내에 정확히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기존 분석법 대비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에서 우수한 성능을 ... ...
KAIST 한순규 교수팀, 한국 최초 신렛(Synlett) 최우수 논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성과를 창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상 논문에서 한순규 교수 연구팀은 자연에서
극소량
만 얻을 수 있는 희귀한 천연물인 ‘4α-하이드록시알로세큐리닌’과 ‘세큐린진 F’를 시중에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해 만들어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이렇게 만든 천연물은 뇌의 구조와 ... ...
DNA와 단백질 만남 장소 싸고 효율적으로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12배 이상 낮춘 2만 원 수준으로 경제성도 갖췄다. 연구팀은 숙주에 감염을 일으킨
극소량
의 살모넬라균을 분리한 뒤 균 내부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특수 단백질인 'H-NS'와 'RpoD'의 DNA 결합 위치와 강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해 ChIP-mini의 성능을 입증했다. 살모넬라균은 숙주인 대식세포 ... ...
[과기원NOW] KAIST, 신입생들에게 '넙죽이' 담은 웰컴키트 배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4
’사이언스‘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리튬염을 기존 대비 10분의1 이하로
극소량
추가해 배터리의 이온 전도도와 기계적 물성을 동시에 크게 향상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온라인 게재됐다. ■ 포스텍은 한세광 소재공학과 · 융합대학원 교수가 ... ...
반도체 공정으로 차세대 에너지 장치 효율·내구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나노 코팅을 형성하는 기술로 연구팀은 이 공정 기술을 이용해 rSOC 연료극 표면에
극소량
( ...
방사선 피폭 예방법 찾았다…특수고글·앱 이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방사성 물질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차폐 공간의 문이 열린다거나 작업 중 실수로
극소량
의 방사성 물질을 흘린다면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피폭 사고를 당할 수 있다. 연구팀의 기술을 이용해 방사선 검출기를 차폐 공간에 두고 휴대폰 앱이나 고글로 방사성 물질 존재 여부를 ... ...
40분이면 암 진단…유전자가위 기반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유전자가위인 'CRISPR-Cas13a'를 이용해 대폭 증가시켜 감지한다. 연구팀은 동물모델에서
극소량
의 세포 외 소포체 샘플만으로도 초기 폐암을 진단할 수 있었다. 대장암 환자의 샘플에서는 기존 PCR 검사보다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암 돌연변이 유전자를 검출했다. 이번에 개발된 진단 플랫폼은 1 ... ...
[사이언스게시판] 전기연, '세계 표준의 날' 기념 유공 산업부 장관상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고성능 비금속계 촉매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몰리브덴(Mo) 산화물계 소재에
극소량
의 루테늄(Ru)을 배합,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비귀금속계 촉매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박선화 표준연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정제된 물이 필요하지만 실제 해수를 이용할 경우 담수화에 ... ...
점점 줄어드는 헌혈량…인공혈액, 인류에 '새로운 피' 수혈할까
과학동아
l
2024.09.15
마무리했다. "지금의 기술로 일본, 미국은 물론 한국도 실험실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해
극소량
의 인공혈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대량 생산을 해야 합니다. 그 목표를 이루는 길에 한국이 앞장서길 꿈꿉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인공혈액, 인류에 '새로운 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