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복
노비
종
사내종
농노
하인
노자
뉴스
"
노예
"(으)로 총 87건 검색되었습니다.
[AAAS연례회의]“개인 유전체 분석 시대, 생명윤리 새 기준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분석기업 ‘앤시스트리DNA(AncetryDNA)’가 자신들의 데이터를 유방암 위험 예측 연구나
노예
배상 소송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들의 유전자 분석 데이터가 의도되지 않은 곳에서 활용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파장이 커졌다. 넬슨 회장은 “유전자 데이터가 ‘여행’할 수 있는 ... ...
차별이 통증보다 아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미국에서는 흑인이 백인보다 고통을 더 잘 견딘다는 주장이 통설처럼 내려온다. 혹독한
노예
제도와 오랜 차별을 견뎌오면서 고통과 통증에 무뎌졌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 통설이 완벽히 틀렸다는 것을 입증했다. 오히려 흑인들이 차별의 기억이 뇌에 각인되면서 고통을 더 강하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이는 조폐국장 월급의 40년 치에 해당하는 액수였다. 원래 이 회사는 남미 식민지의
노예
독점무역으로 영국 정부의 채무를 정리하기 위해 세웠으나(1711년) 이후 금융회사로 변신한다. 1719년 대규모 국채인수 조건으로 주식을 발행할 수 있게 허용된 것이다. 이듬해인 1720년부터 남해회사의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반면에 해안 지역에 사는 주민은 주로 아프리카에서
노예
로 끌려온 집단이었다. 그런데 산악지역 원주민의 몸에는 주로 유럽과 아시아인에게서 많이 발견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살고 있었다. 해안 지역 원주민은 아프리카 유래의 균이 주로 있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상태인지 분석하지 않는다. 박정희 시대부터 과학기술자들이 애국심의 포로 혹은
노예
로 다루어진 문제를, 저자들은 마치 그것이 아무렇지도 않은 일인듯 분석하고 지나친다. 일본의 이화학연구소(RIKEN) 같은 기초과학연구소를 만들자는 과학자들의 꿈이, 건설업자 출신 대통령 이명박에 의해 ... ...
DNA가 밝힌 古代...기원전 2750년에도 사회적 불평등 존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가족 형태와 유사하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친족 구성원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노예
들이 가문을 형성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 결과는 그보다 몇 백 년 앞서 가족 내에 불평등한 처우를 받던 구성원이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같은 시기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결론을 내렸다. 당시의 전쟁은 영토 자체보다
노예
확보가 목적인 경우가 많았다.
노예
는 멀리 인도 및 중국까지 팔려 나갔다. 바이킹이 항상 승리한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적지 않은 노르만족 포로도 먼 지역으로 ‘수출’되었을 것이다.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발굴되는 중국 혹은 남부 유럽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무리에 의해 중요한 도덕, 가치 판단이 좌우된다. 예컨대
노예
제 시절 미국은 같은 인간인 흑인을 ‘백인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애매모호한 죄목으로 공공 장소에서 여럿이 돌아가며 고문하고 목매달아 죽이는 일이 흔했다. 인간은 ‘그래도 된다’는 사회적 합의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했다. 가축이 사라지자 모기의 숙주도 사라졌다. 대규모 농경을 위해서 북아프리카
노예
를 강제로 이주시켰다. 인구가 갑자기 늘어났다. 모기는 가축 대신 사람의 피를 빨기 시작했다. 카르타고의 지배는 포에니 전쟁을 거치면서 끝났다. 하지만 모기는 물러나지 않았다. 오히려 새로운 지배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그의 이름을 다시 수면 위로 올리기 전까지, 여성운동가, 미국 원주민 인권운동가,
노예
제 폐지론자, 자유 사상가였던 마틸다 조슬린 게이지의 이름은 거의 무명에 가까웠다. 로시터가 마틸다 게이지의 이름으로 이 현상을 이름붙힌 이유가 하나 더있다. 1826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1898년 사망할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