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복
노비
종
사내종
농노
하인
노자
d라이브러리
"
노예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웃음이 닮았다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어두운 비밀은 물론 우생학이 가져다준 비극,
노예
였던 조상의 뿌리를 찾아나선 아프리카계 미국인까지 유전학과 관련된 결정적 순간을 보여준다.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구성이라 실감나게 읽을 수 있다. 이 번역가는 “칼 짐머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라며,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음식을 사 먹는데 탕진하고도 모자랐던 그는 음식을 살 돈을 마련하기 위해 딸을
노예
로 팔아넘기기까지 이른다. 그런데 먹어도 먹어도 배고픔은 가시지 않았다. 결국 어느날 에리 시크톤은 자신의 몸까지 야금야금 먹어치우고 만다. 이야기는 결국 에리시크톤의 치아만 남아 음식을 탐한다는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규격으로 의체를 맞추려는 사람은 로봇이 인간을 지배할 것이고, 인간은 인공지능의
노예
가 되어 살아갈 것이며, 대기업에 종속되는 삶은 인간다운 삶이 아니라는 신경증 환자뿐이었다.물론 케이의 왼팔도 스승이 만들었다. 다만 케이는 성장기였고, 매일 같이 자라는 몸에 맞추어 왼팔을 자주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유충을 훔쳐
노예
로 삼기 위해
노예
사냥을 떠나는 행렬이었어요. 책에서 본 개미들의
노예
사냥을 관찰해 기뻤죠. 그런데 제가 관찰한 사무라이개미의 경우, 기존에 국내관찰 사례가 적었던 종이었어요. 제가 이 이야기를 인터넷에 올리니까 개미 연구자들이 우르르 연락해왔죠. 신기한 ... ...
[특집] 식량 위기의 뿌리엔 농사가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홍수가 잦아 관개시설을 만드는 데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다. 당시 문명에선
노예
를 징발해 해결했고 그 과정에서 도시화가 이뤄졌다는 시각도 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원전 약 2100년에는 기후가 건조해 토양에 염분이 쌓이면서 밀의 경작이 어려웠다. 대신 염분에 강한 보리가 주된 작물이 ... ...
어떤 멸망을 선택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기대어볼 희망이 존재할까. AI 점령초지능을 지닌 인공지능(AI)이 인류를 말살하거나
노예
로 삼는 등 지구를 점령할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일론 머스크는 2025년 내로 AI가 인간을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팬데믹인류가 감당하지 못할 치명적이고 전파력이 강한 감염병이 등장해 사회 혼란, ... ...
[SF소설] 마지막 인사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감정 노동까지 강요받으며 일해야 했던 과거의 서비스업은 지금의 관점에서 보면
노예
제의 연장에 불과하다. 돈을 주고 육체적인 노동력을 제공받는 건 어쩔 수 없다고 쳐도 정신적인 노동까지 요구하는 건 학대라고 본다. 돈이 오가야만 성립하는 모든 인간관계는 부도덕하다는 게 요즘 사람들의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명분이었습니다. 그런데 눈치 빠른 잠벤도르프는 고위층의 인간들이 로봇들을
노예
처럼 부리고 타이탄의 자원을 착취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챕니다. 이들은 전제주의 국가라 통제하기 쉬운 크로악시아가 타이탄을 통일할 수 있도록 무기를 제공해 돕고 있었습니다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지배하는 세상은 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김희수: 제 생각도 같아요. 로봇이 직접 인간을
노예
로 만드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 같아요. 인간에게 로봇이 유용한 도구이듯 로봇에게 인간도 유용한 존재여서 인간을 해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로봇이 인간을 보호 목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 ...
[과학용어] 로봇·코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못하는 존재지요.차페크는 ‘로봇’이라는 단어를 ‘자유롭지 않은 노동’ 혹은 ‘
노예
노동’을 뜻하는 체코어인 ‘로보타(Robota)’에서 따왔어요. 희곡의 로봇이 강제 노동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지요. 희곡은 크게 성공을 거둬서 ‘로봇’은 인조인간, 안드로이드 등을 대체하는 단어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