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
뉴스
"
닷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에너지와 양자점 이용해 암모니아 합성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이상엽 특훈교수, 고성준 박사. KAIST 제공.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쓰이는 양자점(퀀텀
닷
)을 이용해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대폭 늘리는 기술이 개발됐다. 산업용 암모니아를 친환경 고효율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도창 교수와 ... ...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17
유기원소와 금속,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는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재는 양자점(퀀텀
닷
)이나 유기 발광 소재보다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색 조절이 쉽고 색 순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 발광소재를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태우 교수는 앞서 2015년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
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입자 크기가 더 작아야 한다. 입자가 작을수록 불안정해져서 개발 난도가 더 높다. 퀀텀
닷
을 안정화 시키는 마지막 화학처리 단계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ACS 지속가능한 화학및공학’ 1월 28일자에 게재됐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페로브스카이트 퀀텀
닷
발광다이오드 올인원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7
위한 픽셀 패터닝 공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퀀텀
닷
주변 절연성 유기 리간드(결합 분자)를 전하 수송이 유리한 유기 리간드로 교환해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발광 색상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이나 전자빔 처리 없이 고효율 RGB 색상이 ... ...
[과기원은 지금] 김형수 KAIST 교수팀, 퀀텀
닷
균일 패터닝 기술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자국을 여러 형태로 균일하게 패터닝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퀀텀
닷
은 디스플레이 소자의 핵심 물질로 모양의 패턴에 따라 해상도가 달라진다. 개발한 기술은 원형부터 다각형까지 균일하게 패터닝 할 수 있는 기술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구현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오미크론 변이 등장 이후 재감염 사례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를 주도한 아부 라
닷
카타르대 교수는 “재감염 사례 대다수는 약 1년 간격으로 발생했다는 점에서 한 번 감염으로 일정 기간 동안 면역 능력을 가지게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면서도 “오미크론 변이는 이같은 면역을 회피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양자컴퓨터 99% 신뢰도를 달성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3
3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세 연구팀은 초전도, 이온덫(트랩), 실리콘 기반 퀀텀
닷
(양자점), 중성원자 방식의 양자컴퓨터 구현 기술 중 실리콘 기반 방식을 활용했다. 네이처는 서로 독립된 세 양자컴퓨터가 99% 이상 신뢰도를 확보한 것은 실리콘 기반 반도체칩 제조 기술을 활용해 양자컴퓨터를 ... ...
QLED 발광효율의 ‘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나타냈다.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양자점 디스플레이(QLED)에 사용되는 양자점(퀀텀
닷
) 광전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QLED 등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민행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연구단장 연구팀이 ... ...
줄에 매달려 건물외벽 청소하는 로봇…위험작업 대체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 공로로 대한민국 10대 기계기술상,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했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곤돌라 장착형 청소로봇을 개량한 모델이다. 곤돌라에 장착하는 대신 사람이 작업하듯이 건물 상부에 로프를 고정시키면 알아서 줄을 타고 이동하며 ... ...
QLED 디스플레이 자유자재로 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9월 24일자에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자점(퀀텀
닷
)을 발광물질로 활용하는 QLED는 기존 액정디스플레이(LCD)와 달리 백라이트 등이 필요없어 얇은 디스플레이 제작이 가능하다. IBS 나노입자연구단도 2015년 머리카락 두께의 약 30분의 1에 불과한 3마이크로미터(㎛, 10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