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
뉴스
"
닷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소부장·감염병·탄소중립 핵심 나노기술에 2030년까지 13조원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30
불리며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그래핀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인 양자점(퀀텀
닷
)이 나노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다. 2000년 미국이 국가나노기술발전계획(NNI)을 발표하면서 나노기술을 미래 융합산업의 핵심으로 지목하자 정부도 2001년 ‘제1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 ...
[프리미엄리포트]모바일 세상에서 장애인이 차별을 겪는 순간들
과학동아
l
2021.04.17
동작한다. 머리 움직임만으 로 원하는 부분을 클릭할 수 있다. 2. 점자 스마트 시계 ‘
닷
워치’ 화면 대신 점자가 뜨는 스마트 시계다. 24 개의 돌기를 이용해 메시지를 점자로 표현 한다.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음악 재생, 건강 체크도 가능하다. 무게는 33g 으로 휴대성이 높다. 3.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퀀텀
닷
생생히 보는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퀀텀
닷
의 투사 데이터 및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복원한 3차원 복원결과. KAIST 제공 ■ 예종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삼성종합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나노입자의 3차원 형상과 조성분포를 재구성하는 능력을 높인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X선 반응 물체 성분에 따라 ... ...
[랩큐멘터리] 전자잉크로 필요한 장치를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도입해 점차 성과를 내는 추세다. 퀀텀
닷
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같은 경우 퀀텀
닷
을 담은 용액을 인쇄해 LED를 만드는 용액공정을 활용한다. 제약계에서는 진단키트를 인쇄기술을 통해 제작해 값싼 가격에 시장에 내놓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실에 잉크젯 프린터부터 3차원(3D) 프린터까지 ... ...
레벨4 자율주행차 유상운송 서비스, 내년 서울 상암에서 선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자율주행차 시범 운행할 수 있는 허가를 취득했다. 송창현 포티투
닷
대표는 "포티투
닷
은 자율주행에 필요한 카메라 센서, 알고리즘, 경량화된 지도, 하드웨어 플랫폼 등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며 ”향후 센서를 포함한 자율주행 하드웨어 플랫폼의 가격 경쟁력 확보, 도심 매핑, 알고리즘 ... ...
피라미드 꼭짓점에서 대칭성 유지하며 양자점 제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물리학과 교수팀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인 양자점(퀀텀
닷
)을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고 이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양자 광원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 양자점은 전압을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질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 ...
[오늘의 뉴스픽]한국 기업 연구도 기초과학 학술지에 실리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이번 논문으로 삼성전자는 청색광 퀀텀
닷
의 효율과 안정적인 구현시간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간 반쪽짜리이던 QLED 기술의 완벽한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논문에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
닷
'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떨어지는 데는 1만5850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개발된 청색광 퀀텀
닷
들은 광도가 유지되는 시간이 5분밖에 되지 않아 안정성에 문제를 겪어 왔다. 연구팀은 친환경적인 QLED 소재 개발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인화인듐(InP)을 활용해 유독한 중금속인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
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모든 산업이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만큼 퀀텀
닷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어렵다”며 “밝은 빛을 내는 청색 퀀텀
닷
을 만들기 어려운 이유”라고 말했다. 퀀텀
닷
중심(코어)를 덮는 껍질인 쉘을 만드는 것도 코어가 작을수록 난이도가 높아진다. 청색광 LED는 수명 또한 문제다. 소재 자체에 많은 에너지를 주고 소재 또한 에너지가 큰 빛을 내기 때문이다. 소재가 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