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함
무감각
무신경
굼뜸
무지각
무기력
느림
뉴스
"
둔감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되는 현상이다. 나이가 들면 식사량이 줄뿐 아니라 미각도 떨어지기 때문에 짠맛에도
둔감
해진다. 따라서 본인은 간이 맞았다고 느껴도 실제로는 소금이 너무 많이 들어갔을 수 있다. 이래저래 소금의 부정적인 영향에 취약해진다는 말이다. 의식적으로라도 싱겁게 먹도록 식습관을 바꿀 필요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되면 특정 침단백질 유전자의 발현량이 늘어나고 해독 능력이 늘어남과 동시에 쓴맛에
둔감
해지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비만의 만연을 유발한 현대사회의 잘못된 식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 채소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잘 알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때 힘의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신 쿠션이 완충작용을 할 것 같지만 대신 촉각이
둔감
해져 자세가 흐트러지며 이런 효과를 상쇄할 수도 있지 않을까. 연구자들은 신을 신는 집단을 둘로 나눠 한쪽은 쿠션이 있는 운동화를, 다른 한쪽은 쿠션이 없는 운동화를 신게 했다. 여기에 맨발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다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알을 낳을 때 찾는 낙엽송과 자작나무는 지구온난화에
둔감
한 반면 새끼를 키울 때 주로 찾는 참나무는 민감하다. 참나무 잎을 갉아먹는 애벌레의 등장 시기도 빨라진다는 말이다. 봄의 온도 상승 폭이 알을 낳는 시기인 4월 15일 이후에 더 크다는 것도 이유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어쩌면 본인이 겪은 위험에 대해서는 예민하지만 ‘타인’이 겪은 위험에 대해서는 되려
둔감
한 것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자신을 향한 위험에 주의를 곤두세우느라 조금 멀리 떨어진 위험까지 신경 쓸 에너지는 없는 것일까? 다른 가능성으로는 타인의 괴로움에 지나치게 공감하는 경우 공감적 ... ...
美연구진 "나이 들수록 타인의 분노와 공포에
둔감
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나타났다. 실험 결과 청년층은 분노와 공포의 감정에 대해 민감하고 노년층은
둔감
하게 반응했다. 1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는 분노에 대한 민감성을 수치화한 점수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추세선 에서 분노에 대한 민감성은 최대 48점, 공포 민감성 점수는 최대 47점대를 보였다. 그보다 ... ...
바닷물 산성화로 연어 고향으로 못돌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것을 연어에게 알려줘 도망치도록 한다. 관찰 결과 산성이 높으면 연어는 냄새에
둔감
해졌고 도망을 가지도 않았다. 연구진은 연어의 코와 뇌 중 어느 부위에 산성도가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코와 뇌의 신경활동을 측정했다. 코에서 일어나는 신경활동은 산성도에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4 repeat를 보이는 사람에 비해서, DRD4 exon III 7 repeat를 보이는 사람의 도파민 수용체는 조금
둔감
한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도파민 수치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행동을 촉발하게 됩니다. 새로운 열정이 솟아나는 사람들 이들은 탐구심과 호기심이 많습니다. ... ...
침이 입맛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18.09.11
단백질의 조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우유를 마신 참가자들이 점점 쓴맛과 떫은맛에
둔감
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침 속 단백질 중 쓴맛과 떫은맛을 내는 화합물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증가한 사실도 확인했다. 침 속 단백질이 화합물에 결합해 맛을 인지하는 감각을 방해한 것이다. 러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에서도 후각수용체 유전자 발현의 이상이 관찰됐다. 후각이
둔감
해지는 게 신경퇴행성질환의 전조라는 게 알려져 있지만 이건 다른 얘기다. 즉 냄새를 맡는 것과 관련된 후각상피가 아니라 뇌세포에서 발현이 변한다. 예를 들어 대뇌피질과 흑질(Substantia nigra) 세포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