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함
무감각
무신경
굼뜸
무지각
무기력
느림
뉴스
"
둔감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복적인 스트레스 받으면 '가는귀'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피라미드 세포와 PV(파발부민) 단백질을 생산하는 신경세포는
둔감
해졌다. 연구팀은 "이런 청각 처리 과정 변화는 음량 지각 능력 감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반복적 스트레스가 동물의 감각 처리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미가 ... ...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예민하게 반응해 버튼을 누르지 않고 잘 참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주의자일수록 변화에
둔감
하게 반응해 No-Go임에도 버튼을 자주 누르는 것이 관찰됐습니다. 연구팀은 뇌의 전기적 활동 변화를 측정하는 ERP를 활용해 ACC 반응도 살폈습니다. 진보주의자 일수록 ACC 활동이 강하게 측정됐어요. 20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뉴런의 활성을 억제한다. 바로 통증 신호를 전달에 관여하는 뉴런이다. 그 결과 통증에
둔감
해진 것이다. 이번 실험으로 정유의 향기 성분(분자)이 비후각적으로 직접 작용하는 게 아니라 후각을 통해 작용하면서도 뇌의 통증 관련 뉴런에 영향을 미쳐 생리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 밝혀졌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발견들이 보고되고 있다. 혈압이 다소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통증에
둔감
한 경향을 보이고 사회적 고통에도 둔한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의 심리학자 이나가키 연구팀은 사람들로 하여금 온라인 공 던지기 놀이를 하게 했다. 처음에는 여럿이 함께 골고루 ... ...
'좋지 않다'가 '나쁘다'를 뜻하진 않는다…美 연구진, 실험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잘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최신 인공신경망은 언어를 처리할 때 부정문의 영향에
둔감
해 인간 뇌에서 부정문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78명에게 '좋은/나쁜', '좋지 않은/나쁘지 않은', '행복한/슬픈', '행복하지 않은/슬프지 않은'과 같이 긍정문 또는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반복 행동 등을 보인다. ASD의 또 다른 주요 증상은 감각 이상이 있다. 감각이 과민하거나
둔감
해지는데 감각 과민의 경우 일상에서 느끼는 소리, 빛, 촉각 등에 과도하게 반응하게 만들어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린다. 환자의 약 90%에서 관찰될 정도로 흔하지만 지금껏 ... ...
강렬한 단맛이 쓴맛 줄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떨어지면 이를 공유한 쓴맛 등 다른 종류의 미각신경세포도 같이 영향을 받아
둔감
해지거나 심한 경우 무력화될 수 있다. 연구팀은 단맛에 오랜 시간 노출된 초파리가 쓴맛을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했다. 야생 초파리는 단맛신경세포 내 이온통로의 한 종류인 ‘과분극 활성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 ...
중국·사우디 수학자들, '인용 카르텔'로 인용수 높였나…학계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조작'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한국도 인용지수를 높이기 위한 인위적 추천 관행에 비교적
둔감
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2020년 대한정형외과학회는 학회의 대한정형외과영문학회지(CIOS)의 인용지수를 높이기 위해 학회원들에게 인용을 독려하는 공지를 내리기도 했다. 인용을 많이 한 대학병원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탈이 나지 않는다. 또 침에 타닌 같은 분자와 결합하는 단백질이 많이 있어 떫고 쓴맛에
둔감
하다. 반려동물의 대명사인 고양이와 개를 키울 때 먹이에 주의해야 하는 것도, 이들이 육식동물 또는 육식동물(늑대)의 생리에서 미처 적응하지 못한 잡식동물이기 때문이다. 식물 독에 대한 사람의 ... ...
보살핌 못 받아 생긴 스트레스 극복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각 그룹의 뇌를 전기생리학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정상쥐 및
둔감
한 쥐와 달리 스트레스에 취약한 쥐는 뇌의 외측 고삐핵에서 신경세포 연결부위인 시냅스 반응이 과도하게 증가했으며 시냅스 가소성이 손상됐다. 생애 초기 스트레스에 의해 과활성화된 고삐핵이 이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