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뉴스
"
벼
"(으)로 총 12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말이 있을 수 있다. 좀 더 익숙한 단어를 쓰자면 육종이나 품종개량이 여기 해당한다.
벼
나 옥수수를 인간의 요구에 맞게 개량하거나 개 또는 비둘기를 인간 취향에 맞게 품종을 관리하는 일은 말하자면 인공선택이다. 인간은 오랜 세월 이미 인공선택으로 종의 진화를 이룩한 셈이다. 인간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말벌, 북아메리카 접수할까
2020.10.06
장면을 본 적이 있는데, ‘삼국지’에서 관우나 장비가 단기필마로 전진에 뛰어들어
벼
를 베듯이 적군을 쓰러뜨리는 장면이 연상됐다. 벌집 앞에는 장수말벌이 강한 턱으로 두 동강 낸 꿀벌의 사체가 수북이 쌓여 있었다. 장수말벌에 왜 ‘장수(將帥)’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줄 수 있을 거란 말이다. 특히 인류가 섭취하는 칼로리의 3분의 2를 공급하는 외떡잎식물(
벼
, 밀, 옥수수 등) 사이에서 접붙이기가 가능한 방법을 찾는다면 제2의 녹색혁명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게다가 접붙이기는 유전자 차원에서 개입하는 게 아니라서 GMO 논쟁에서도 자유롭다. 연구자들은 ... ...
현택환, 김빛내리, 황철성 교수 등 8명 서울대 석좌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양성해 반도체 분야 연구와 교육 양쪽에 큰 공을 세웠다. 이용환 농생명공학부 교수는
벼
도열병의 발생 메커니즘을 밝혀 식물 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병리학과 유전체학, 생물정보학을 결합해 인체 병원균을 포함한 진행 미생물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쓰러지지만 말단은 중력 반대 방향으로 자라며 적응한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심수
벼
가 침수됐을 때 대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식물생리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벼
와 모양 비슷한 사초과 식물 2종 세계 최초 발견
연합뉴스
l
2020.08.04
연구를 수행해왔다. 이번에 발견한 신종 식물 2종은 사초과에 속한다. 사초과는
벼
과와 잎이나 줄기 등의 형태가 비슷하지만 종을 분류하는 가장 중요한 형질인 열매가 익는 기간이 2∼3주로 짧다. 익으면 열매는 떨어지고 잎만 남아 정확한 분류가 어렵다. 이런 이유로 2015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 ...
3500년전 이역만리 우물서 숨진 고대인 진짜 고향 게놈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제공 연구팀은 이달 1일에도 중국 황허강 중하류 지역과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에서
벼
와 기장 농사를 하던 집단이 각각 세를 확장했고 이 과정에서 현재의 중국 요서 지역 인류집단의 혈통을 다양하게 변화시켰다는 사실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위 지도). 이들 연구자들의 논문은 불과 ... ...
벼
노화 늦추는 유전자 알아내 수확량 7%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조절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진하는 데 성공했다”며 “노화조절 유전자를 이용해
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물 육종 개발이 가능해지고 이는 식량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도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피해를 막아주는 완충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만 현대 농업에서 널리 행해지는
벼
나 사탕수수, 파인애플 등 단일 작물 위주의 농업보다는 다양한 작물을 키우는 농장이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단일 작물을 키우는 농지에서는 발견되는 생물종 수가 점점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료 덜 쓰고
벼
수확량 늘리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질소에 반응하는 유전자가 ‘NGR5’라는 단백질의 양을 늘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NGR5는
벼
의 가지 수를 억제하는 유전자의 구조를 조절해 이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하도록 했다. NGR5는 또한 가지 형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DELLA’와 상호작용해 가지들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질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