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칙
불연속
단절
연락 없음
절연
이상
뉴스
"
불규칙
"(으)로 총 375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을 다시 뛰게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16
AED)는 자동심장충격기와 두 개의 전극 패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동심장충격기는
불규칙
하게 뛰는 심장을 멈출 전기를 내보내는 장치고 전극 패드는 전기를 심장으로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한 개는 오른쪽 가슴 위, 다른 한 개는 왼쪽 겨드랑이 아래 옆구리에 붙이는 게 전극 패드의 정석 ... ...
스트레스 조절하는 장내미생물…난치 우울증 등 새 치료법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개선하는 치료법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대인 생활에서
불규칙
한 수면, 높은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등 일주기 리듬 방해 요소가 점점 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신체의 자연적인 스트레스 조절 기능 유지에 장내 미생물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고체·액체 성질 함께 가진 '전자 결정' 최초 발견…물리학 난제 풀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4번 지점의 에너지가 서로 다르고 운동량 간격도 일치하지 않는
불규칙
성을 보였다. 이
불규칙
성은 짧은 거리의 전자 배열이 존재할 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특징이다. 김근수 연세대 교수 제공 김 교수는 "전자들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완벽한 경우(위그너 결정)를 고체 상태, 규칙적인 배열이 ... ...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범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요. 반면 화재 연기는 색상도 훨씬 진하고 빨리 퍼지며
불규칙
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보입니다. 또 요리할때는 열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어 나타나며 온도 변화가 천천히 일어나는데 화재가 발생하면 훨씬 넓은 범위에서 아주 가파르게 온도 변화가 일어나요. 이처럼 ... ...
'찌릿찌릿' 전기 자극으로 식욕 없앤다?
과학동아
l
2024.10.12
냈습니다. tRNS는 두개골을 통해 뇌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해서 뇌의 특정 영역에
불규칙
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2008년 다니엘 터니 당시 독일 괴팅겐대 연구팀이 처음 개발했습니다. (doi: 10.1523/jneurosci.4248-08.2008) tRNS의 핵심은 '무작위성(random)'입니다. tRNS는 100~640Hz의 폭넓은 주파수의 ... ...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간단 처리만으로 수명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있다. 하지만 금속 리튬을 음극 재료로 사용하면 충·방전 과정에서 음극 표면에 리튬이
불규칙
하게 쌓이며 뾰족하게 자라나는 '수지상 결정(dendrite)' 현상이 생긴다. 수지상 결정이 자라나면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을 뚫고 전지의 단락이 일어나기도 하고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등 ... ...
'구리 호일'로 리튬 전지 폭발·화재 위험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수 있다. UNIST 제공 리튬 전지 폭발·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전극 표면에 리튬 금속이
불규칙
하게 쌓이며 뾰족한 모양을 만드는 '덴드라이트'가 지목된다. 국내 연구팀이 구리 원자를 정밀하게 배열한 얇은 호일로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해 리튬 전지의 안전성과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 ...
장기간 우주비행, 심장 급속 노화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4
육종이 짧아지고 무질서해졌다는 분석이다. 심장 조직은 수축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불규칙
한 박동(부정맥)을 일으키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 박동과 다음 박동 사이에 걸리는 시간은 약 1초지만 우주에 있는 심장은 박동 간격이 최대 5배까지 길어졌다. 박동 간격은 지구로 돌아왔을 때 ... ...
뇌 표면 밀착 전자패치, 약 안 듣는 뇌질환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온도가 높을수록 물성이 부드러워지는 열가소성을 지닌 형상변형 소재의 특성으로
불규칙
한 구조를 지닌 대뇌피질 곡면을 따라 전자패치 형태가 변형됐다. 뇌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된 전자패치는 음압 진동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대뇌피질전도 측정의 질을 높였다. 연속적인 초음파 자극 ... ...
제일 베이기 쉬운 종이 두께의 물리적 비밀
과학동아
l
2024.09.07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종이의 놀라운 잠재력이 밝혀졌다”며 "이 연구는 종이 절단의
불규칙
한 특성을 이해하는 간단한 체계를 제공하고 물리학에 기반한 종이 칼날 설계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9월호, [과학뉴스] 제일 베이기 쉬운 종이 두께는 '65µm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