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칙
불연속
단절
연락 없음
절연
이상
뉴스
"
불규칙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조작 근거를 찾아내는 소프트웨어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귀의 독특한 주름, 치아의
불규칙
성 등으로 조작을 감지한다. 네이처는 "모든 딥페이크에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은 어렵기 때문에 딥페이크 탐지 기술은 올 한해 내내 화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I의 위험성을 설파해 왔던 ... ...
'아라비카' 커피 풍미가 깊은 이유…기후변화 견딜 품종 위한 유전자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매우 취약하다. 15~25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고산 지대에서 재배할 수 있다. 강우량이
불규칙
할 경우에도 잘 자라지 않는 까다로운 종이다. 그만큼 커피맛이 좋기 때문에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 등은 전 세계 매장에서 아라비카 품종만 사용한다고 홍보해왔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아라비카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워싱턴대 해양생물학과 프라이데이하버 연구실 교수는 "차세대 로봇은 지금보다 더
불규칙
한 지형, 변화무쌍한 표면에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이동 궤적을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개발돼야 한다"며 "자연계 생물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이번 연구가 더 견고한 차세대 로봇 ... ...
지름 13억광년 거대 천체 발견…"기존 우주론으론 설명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어렵다는 게 기존 이론이다. 빅 링과 자이언트 아크는 우주의 균일성을 깨는 일종의 '
불규칙
성'을 갖는다는 설명이다. 빅 링과 자이언트 아크는 모두 목동자리 근처에 형성돼 있다. 빅 링과 자이언트 아크가 서로 연결돼 있는 더 거대한 우주 시스템의 일부일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우주를 ... ...
"자고 깨는 시간 너무 일정해도 치매 위험 상승"
연합뉴스
l
2023.12.19
잔다고 치매 위험이 커진다는 것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지만 잠이 규칙적인 사람과
불규칙
한 사람 모두 뇌의 회색질과 기억 중추인 해마의 용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 참가자 중 뇌 영상 자료가 있는 소그룹(1만5천263명)의 뇌 영상 분석에서는 수면 규칙성이 뇌 ... ...
[바꿔쓰자!과학용어] ⑯장마전선→정체전선...기후 부문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3.11.22
제트기류는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 차이로 형성되는데, 이 기류가 약해지거나
불규칙
하게 변할 때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 강한 한파들도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북극 한파보다 넓은 의미인 ’극한 한파‘로 지칭할 것을 제안했다. 극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수술을 한 것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뼈는 아주 단단하므로 상처에 의한 구멍은
불규칙
하게 생기지만 수술 흔적이라 판단하는 구멍은 무엇인가로 잘라낸 것처럼 둥글고 각이 진 모양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원시문명을 간직하고 있던 아프리카 원시부족들 중에서 20세기에도 머리뼈 수술을 ... ...
화장품 성분 ‘잔탄검’ 배터리 보호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은 생산이 매우
불규칙
하다. 그래서 전력을 저장한 후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이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ESS 배터리로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많이 사용되지만 가격이 비싸고 고갈 우려가 있어 이를 ... ...
위암으로 사망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노출’ 산재 첫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1.06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위원회는 누적 방사선량이 과소 측정됐을 수 있으며 업무상
불규칙
한 생활 등을 했다는 점에서 상병과 업무 간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우주방사선은 우주로부터 지구로 도달하는 방사선을 의미한다. 일상에선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고도가 높은 곳에 장시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그는 1981년 러시아 바빌로프 국립광학연구소에서 비정질(원자나 분자가
불규칙
하게 배열된 고체) 유리 안에서 구리와 염소를 반응시켜 수 나노미터 크기의 염화구리 입자를 합성했다. 그리고 염화구리 나노입자가 첨가된 비정질 유리가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