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늘
음지
그림자
응달
섀
명암 정도
암영
뉴스
"
음영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탐사부터 중력파 관측 위성까지 중국의 우주굴기
연합뉴스
l
2022.02.22
맞춰 3건의 탐사를 승인했다. 가장 먼저 2024년 창어(嫦娥) 7호를 발사해 크레이터 내
음영
부분의 얼음 분포 지도를 포함한 남극 주변의 상세한 탐사를 진행하고 이어 창어6호가 토양 시료를 가져오게 된다. 또 유인 달기지 건설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시험하기 위해 2030년 이후 발사될 창어 8호 ... ...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명칭 공모 내달 28일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원궤도로 돌며 1년간 관측 활동을 벌인다. 탐사선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달의 영구
음영
지 관측을 위해 개발한 섀도우캠을 비롯해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이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 광시야편광카메라, 자기장측정기, 감마선분광기, 우주인터넷 검증기 등 탑재체 6기가 실려 ... ...
"달의 뒤편은 생각보다 단단했다"…인류 첫 달 후면 탐사로버 '옥토끼2'
동아사이언스
l
2022.01.21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의 착륙 후보지를 찾는 임무다. 달의 뒷면인 영구
음영
지역은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물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돼 미래 주요 착륙 후보지로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예정대로 8월 KPLO가 발사되면 12월 달에 도착해 점검을 거친 후 1년간 달 궤도를 돌며 ... ...
2022년 인류가 다시 달을 향한다...코로나 백신 업그레이드에도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여기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개발한 섀도캠도 포함된다. 달의 극지방에 영구
음영
지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로 향후 미국이 추진하는 유인 달 착륙 후보지를 찾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022년에 주목되는 7가지 과학 이슈를 소개했다. 미국이 추진하는 유인 달 ... ...
두께 1000분의 1로 얇아진 지문인식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30
빛을 쏘면 지문 굴곡으로 인해 달라지는
음영
을 센서로 수집해 이미지를 추출한다. 빛의
음영
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센서에는 보통 실리콘이 사용되는데, 연구팀은 실리콘 대신 ‘비스플루로페닐 아자이드’란 물질을 도핑한 유기물을 사용했다. 박 책임연구원은 “유기물은 실리콘보다 광 ... ...
5G 적용범위 늘릴 소형 기지국 소프트웨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용도로 설치가 가능하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건물 내부, 인구 밀집 지역,
음영
지역 등에서 5G 기술만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트래픽도 분산시켜 체감 통신 속도를 높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5G 서비스는 4G망과 5G망을 같이 쓰는 비단독모드와 5G망만을 쓰는 ... ...
미 NASA 로버 ‘바이퍼’, 달 착륙 우주인 쓸 물 찾아 컴컴한 '달 남극'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7
충돌구’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상상도. 영구적으로 햇빛이 들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에 물이 있을 가능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미항공우주국 ... ...
NASA 첫 달 로버 탐색지는 달 남극 '노빌레 분화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2
예정된 달의 남극지대. 달의 남극 충돌구는 태양이 영구적으로 들지 않는 '영구
음영
지대'가 존재한다. 이곳에는 물이 얼음으로 저장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NASA 제공 바이퍼는 2023년 말 민간기업의 우주선에 실려 달로 향할 예정이다. NASA는 지난해 애스트로보틱스와 2023년 바이퍼를 달에 운송하는 ... ...
한국 달궤도선에 NASA ‘섀도캠’ 실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미션인 ‘아르테미스’를 위한 착륙 후보지를 찾는 임무를 맡는다. 이처럼 달은 영구
음영
지역이 생기는 것은 물론 지구에서는 한쪽면만 보인다. 자전축을 중심으로 24시간마다 자전하면서 낮과 밤이 생기는 지구처럼 달도 자전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지구보다 훨씬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 NASA에 ... ...
유인 달탐사 착륙지 찾을 미 NASA 섀도캠, 한국 달궤도선에 설치 끝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12월 이 비행방식이 최종 확정됐다. 섀도캠은 달에서 영원히 햇볕이 들지않는 영구
음영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섀도캠은 열흘 전 입고돼 장착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섀도캠이 마지막으로 입고되면서 KPLO에 장착될 탑재체 6개가 모두 제작이 완료돼 KPLO를 담당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