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형
중용
억제
중정
중국
뉴스
"
중화
"(으)로 총 5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2023.10.12
일시적으로 높여주는 전기천공기를 활용해 DNA를 투여했음에도 바이러스 감염을
중화
시킬 항체가 충분히 유도되지 않아 국내에서는 임상 1상 이후 진전이 없으며 세계적으로도 인도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인허가가 되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 mRNA 백신은 훨씬 효율적으로 인체 세포에 전달된다. ... ...
마늘 냄새 없애는 해결사는 '요거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9.29
결과를 지난 7월 국제학술지 '분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물, 단백질, 지방 성분도
중화
효과가 있었지만 가장 냄새를 많이 없앨 수 있는 것은 요거트였다"고 밝혔다. 저지방 요거트보다는 고지방 요거트가 더 효과적이었다고 덧붙였다. 마늘 냄새의 근원은 '알리인'이란 황화합물이다. 유황을 ... ...
美, 코로나19 새 백신 승인...“BA.2.86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9.08
설계된 백신이다. 하지만 모더나사는 6일 자체 연구 결과를 발표해 BA.2.86 변이에서도
중화
항체가 거의 9배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이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기존 오미크론 대비 36개 많아 예방접종 효과가 낮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지만 제조사는 이 변이에도 효과가 ... ...
비만일 때 당뇨 생기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발현을 방해하는 siRNA 시스템을 이용해 ATG7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거나 엔도트로핀을
중화
하면 비만 관련 대사질환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세포 내 엔도트로핀의 축적이 세포외기질 항상성의 불균형을 의미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다”며 “비만한 지방조직에서 ... ...
코로나에 체면 구긴 日...백신 연구개발에 10조 투입 '심기일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2
5670DS-5670'를 부스터샷으로 접종했을 때 모더나와 화이자의 mRNA 백신보다 더 높은 수준의
중화
항체를 증가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다이이찌산쿄는 일본 최초 mRNA 특화 공장도 건설 중이다. 코로나19 백신뿐만 아니라 계절성 독감 백신과 다른 백신도 생산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2024년까지 연간 2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준 콜레라균을 직접 들이마시는 실험을 했다. 게다가 코흐의 의견을 받아들여 위액을
중화
시킬 수 있도록 탄산나트륨을 복용하기까지 했다. 페텐코퍼의 몸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페텐코퍼는 콜레라균 복용직후 약간의 소화기 증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콜레라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는 ... ...
코로나 항바이러스 치료제,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세포를 확인하고
중화
항체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분석결과 BQ.1.1와 XBB 두 물질을 모두
중화
하는 데 성공한 항체치료물질은 없었다. 연구팀은 “이들 항체치료물질이 BQ.1.1 또는 XBB에 대해 효과적이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항바이러스제는 BQ.1.1과 XBB 모두에 대해 유효한 치료 ... ...
한 달새 4배 늘어난 BN.1 검출률…"3명 중 1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보이고 BA.5 포함 2가 백신에도 기존 오미크론보다는 다소 감소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중화
능을 보인다"며 "그 하위계통인 XBB.1.5도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에 유사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방역 당국이 별도로 전장유전체 분석을 진행 중인 중국발 입국자의 변이별 검출률은 BA.5 77 ... ...
코로나 2가 백신, 새로운 오미크론 하위변이에 효과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2.12.14
보였다. 그러나 BA.2.75.2, BQ.1.1, XBB.1에 대해선 낮은
중화
율을 보였다. BA.5과 비교했을 때
중화
항체가는 BQ.1.1이 4분의 1 수준이었으며 X.BB.1는 8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롭게 출현하는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백신개발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 ...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축적은 내장비만의 주된 원인이다. 연구팀은 P-G3의 양전하가 지방세포의 음전하를
중화
시켰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리 치앙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메디컬센터 교수는 “내장비만에 대한 이 치료법은 기존 약리학적 또는 외과적 접근법과는 다른 독특한 방식”이라며 “양전하 나노물질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