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뉴스
"
짝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
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유전자의 개체군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전자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살폈다. 분석 결과
짝
짓기 상대로 붉은색 날개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한 붉은 날개를 가진 상대를 발견했을 때 동일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선호하는 사이드노는 구애 ... ...
암 유발 대사물질, 컴퓨터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모든 대사물질의 활성을 예측한다. 두 번째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와 대사물질
짝
을 선별한다. 세 번째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와 연결된 대사물질을 대상으로 이들과 연관된 대사경로를 선별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유전자-대사물질-대사경로’ 조합을 완성해 컴퓨터 방법론 결과를 도출한다 ... ...
문어에서 발견한 3억8000만년 전 성염색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확인해 수컷은 ZZ, 암컷은 ZO인 ZZ/ZO 방식으로 성별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O는
짝
을 이루는 염색체가 없다는 뜻이다. 또 Z 염색체 안에서는 생식과 발생에 필수적인 일부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연구팀이 조사한 두족류의 분화 계보. 문어의 Z 염색체는 약 4억5000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되는 바이러스도 감염 후 발생까지 꽤 긴 시간이 걸리므로 노벨상 선정위원회에서
짝
을 맞춘 것으로 생각된다. 프리온 병중 가장 흔한 크로이츠펠트-야곱병. 위키미디어 제공 ●프리온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 오늘날 렌티바이러스와 같이 특정의 바이러스를 가리키기 위해 “지발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이룬 것일 수 있다. 2019년 검출된 중력파를 분석해 추정한, 태양질량 23배 블랙홀과
짝
을 이룬 2.6배 천체 역시 과거 쌍성계가 병합돼 생긴 작은 블랙홀(또는 중성자별)일 수 있다. 앞으로도 질량 공백 범위의 천체가 더 많이 관측될 것이다. 과연 질량 공백 가설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태일… 생체모사 필터로 생활 소음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에 발표했다. 거미는 바람과 비 등 외부 노이즈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먹이와
짝
등이 보내는 신호를 잘 감지한다. 다리 하부 진동수용체에 존재하는 점탄성 패드가 낮은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만 선택적으로 제거해 높은 주파수 대역만 진동수용체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거미의 ... ...
연인과의 이별 슬픔 잊는 '뇌 메커니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것이 아닌
짝
과의 유대감을 낮은 수준으로 평가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헤어진
짝
을 잊고 새로운 유대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뇌가 일종의 '리셋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도파민 분비가 사랑하는 사람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보고 감탄하는 정도였다. 다만 21/22시즌 해리 케인이라는 잉글랜드 최고의 골잡이와
짝
을 이뤄 EPL 합작골 기록(37골)을 세웠다는 뉴스가 나왔을 때와 23골로 득점왕이 됐을 때 해당 골 장면 모음 동영상을 찾아보기는 했다. 참고로 합작골이란 두 사람이 도움(어시스트)을 주고받아 득점한 경우를 ... ...
극저온 분자 '양자 얽힘' 첫 구현...양자컴 상용화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집는 '광집게'로 분자를 하나하나 집어 배열한 다음 분자 2개씩
짝
을 이뤄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었다. 한 쌍이 된 분자들의 양자얽힘 상태를 이끌어내는 건 분자 간 전기 쌍극자 상호작용이다. 전기 쌍극자는 자석의 N극과 S극처럼 서로 부호가 반대인 전하를 붙여놓은 ... ...
원숭이 사이에도 호의는 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2.09
반면 상대가 이전 실험에서 자신만 간식을 받는 선택을 했을 경우 다른 원숭이로
짝
을 바꿀 확률이 높았습니다. 앤서니 포모 박사는 “자신과 상대가 모두 이익(간식)을 얻기 위해 이전에 이기적인 선택을 한 상대에게 불이익을 주며 협력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협력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