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뉴스
"
짝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futile creatine cycle에 대한 공식 번역어가 아직 없어 내가 임시로 만든 용어다)으로
짝
풀림 반응과는 좀 다르다. 세포호흡으로 만들어진 ATP가 근육 수축 같은 의미 있는 작업에 연료로 쓰이는 대신 크레아틴을 포스포크레아틴으로 바꾸는 데 소모된다. 물론 근육에서라면 포스포크레아틴이 근육 ... ...
[과학게시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과학자의 공간에 초대합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 홀로그래픽을 연구하는 의광학자인 박용근 KAIST 교수, 유기인듐을 이용한
짝
지음 반응 등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이필호 강원대 교수, 미세 나노 로봇 제작 등에 기여한 박소정 이화여대교수, 막단백질을 연구하는 생물물리학자 윤태영 서울대 교수, 의사과학자로서 뇌질환을 연구하는 이정호 KAIST ... ...
하늘의 평화?…러시아·유럽 20여년 만에 동반 우주유영
연합뉴스
l
2022.07.22
모듈에 부착된 유럽로봇팔(ERA). NASA 제공 유럽과 러시아 우주비행사가
짝
을 이뤄 국제우주정거장(ISS) 밖에서 7시간여에 걸쳐 우주유영을 했다. 러시아 우주비행사가 다른 나라 우주비행사와 함께 우주유영을 한 것은 13년 만이고, 유럽 우주비행사와는 무려 23년 만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 ...
떼로 출몰한 러브버그, 사랑스럽진 않아도 해충은 아니야
연합뉴스
l
2022.07.06
생존시간은 실험실 환경에선 수컷과 암컷 각각 92시간과 72시간 정도인데 자연에서는 '
짝
을 찾아 교미하고 알을 낳는 데 필요한 만큼'만 산다. 주로 낮에 기온이 20도 이상일 때만 날아다니고 밤에는 낮은 초목에 숨어서 쉰다. 플리시아 니악티카는 통상 연중 4~5월과 8~9월 두 차례 번성한다. ... ...
달 정거장 건설 출발부터 '삐걱'…궤도시험 위성 연락 끊겨
연합뉴스
l
2022.07.06
photo@yna.co.kr 캡스톤은 달 궤도를 13년째 돌며 임무를 수행 중인 '달궤도정찰선'(LRO)과
짝
을 이뤄 서로 거리를 측정해 위치를 확인하는 '달-지구 자율 위치 시스템' 기술도 선보일 계획이었다. 캡스톤은 미국 민간기업 '어드밴스드 스페이스'가 NASA와 2천만 달러(261억원)의 계약을 맺고 설계 및 운영을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온난화 적응에 나선 북극곰 가족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작았다. 또 출산하는 새끼 수도 적었다. 연구팀은 그 원인으로 복잡한 산악지형 탓에
짝
을 찾기 어렵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레이드 교수는 “이 북극곰들은 북극곰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생존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 같다”며 “다른 지역의 북극곰이 이 북극곰들처럼 바뀐다고 해도 그린란드에 ... ...
과학은 실용성…재미 강조한 '과학 마케팅'이 망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5.30
이룰 때 소비자는 이질감을 느끼고 제품에 관심이 없어 한다”며 “실용성이 과학과
짝
을 이룰 때 소비자에게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즐거움과 과학을 연결시키는 일이 전혀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고 소개했다. 과학적 사실을 먼저 인지시켜주면 오히려 과학 마케팅 효과가 ... ...
무질서에서 질서 생성되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11
부분이 몰려 있는 구간이 상당히 큰 확률로 생기기 때문에 사슬들이 만날 때 필연적으로
짝
이 맞지 않는 부분들이 생겨 평평한 판상구조가 접히는 것”이라며 “흔히 무질서하다고 여겨지는 무작위 서열 속에서 어떻게 질서가 생겨날 수 있는지 엿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에 ... ...
[프리미엄 리포트]마스크 쓰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이유
2022.04.16
전통적인 미학자들과 인문학자들은 예술 작품에 대한 인지와 비예술적인 음식이나
짝
을 찾기 위한 생물학적 욕구를 분리해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의 뇌과학 연구들에 따르면, 예술 작품에서 느끼는 아름다움과 이성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이 인간의 뇌에서는 크게 구분되지 않아 보인다. ... ...
코로나19 변이 15분만에 구분하는 진단키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스파이크 단백질에만 높은 결합력을 갖는 항체를 발굴해 청색으로 표지 후 이들을 ACE2와
짝
을 이뤄 항원 신속진단 기술에 적용했다. 그 결과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인 경우 보라색, 변이 바이러스인 경우에 분홍색으로 각각 검출됐다. 이 선임연구원은 “검출된 바이러스가 변이인지 아닌지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