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과실
실책
실패
과오
실례
착오
스페셜
"
실수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떨어지면 이를 회수해 개조한다. 이렇기에 “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이 통제력을 잃어
실수
로 미국까지 간 것”이란 중국의 주장은 명료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상 관측용 풍선과는 재질과 구조가 다른 초고압력기구이기도 하거니와 장기 체공을 염두에 둔 태양광 패널까지 장착돼 있었기 때문이다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상황에서 환자안전 사고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사람이
실수
를 하지만 시스템의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한다는 접근방식에 특히 주목했다. IT 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주목하기 시작한 건 이 때 부터였다." 수술실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모니터링의 문제점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용서와 배신의 '딜레마'
2023.04.01
제공 용서는 좋은 것이라고들 한다. 사람은 누구나 적어도 한 번쯤 큰
실수
를 하기 마련이고 그 때 내가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길 바라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그럴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용서가 독이 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플로리다 주립대 연구자 제임스 맥널티(James McNulty)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한다. 그것이 탈원전에 섣부르게 앞장서서 국가의 에너지 정책을 엉망으로 만들어버린
실수
를 만회하는 길이기도 하다. ● 기름값은 국제석유제품시장 가격 기름값에 대한 오해는 대부분 국제 원유시장에서의 두바이유 가격과 국내 주유소의 기름값 사이의 묘한 관계에서 시작된다. 기름값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빨리빨리 처리한다고 서두르다가 되려 중요한 일을 까먹거나
실수
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가급적 나중에 일을 몰아서 하는 것 못지 않게 가급적 빨리 일을 몰아서 하는 것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미루기의 반대로 서두르기(procrastination)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라 믿은 이유는 자신의 몸을 이용한 임질 감염 실험에서
실수
로 매독균이 오염된 바늘을 사용하는 바람에 두 성병에 모두 감염되었기 때문이다. 이 실험이 그가 직접 수행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기도 했다. 존 헌터의 영향력이 컸으므로 매독과 임질이 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상상들을 기반으로 부풀려진 자존감은 건강하지 않다고 보았다. 여전히 작은(?)
실수
들에도 좌절하고 스스로에 대해 실망하는 나를 보고 여전히 지나치게 큰 자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하게 되었다. 사람들 앞에서 쭈뼛쭈뼛 하는 것도, 어색한 미소를 날리는 것도, 부끄러움이 많은 것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보인다. 상대가 기본적으로 좋은 사람이며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상대의
실수
나 잘못을 ‘고의로’ 또 ‘나를 해치려는 속셈으로’ 그랬다며 악의적으로 해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비슷한 갈등이 생겨도 서로에 대한 신뢰가 두터운 커플은 그렇지 않은 커플에 비해 서로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밝혀내지 못하고, 다른 나라의 허용기준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면서 무작정 같은
실수
를 반복하는 제조사의 어설픔이 몹시 안타깝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라면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건강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길 수밖에 없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당연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지난 한 세기 동안 환경 문제를 소홀히 여기고 화석 연료를 마구 써버린 우리 자신의
실수
를 엉뚱하게 탄소의 탓으로 돌려버리려는 자세는 매우 비겁한 것이다. 탄소가 우리의 무분별한 소비와 낭비를 부추긴 것도 아니다. 화석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면 반드시 지구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