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과실
실책
실패
과오
실례
착오
d라이브러리
"
실수
"(으)로 총 1,139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 부릉부릉! 차를 만든다, 오은석 엔지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무엇보다 안전을 지켜야 해요. 지난해 5월 행사에서 자동차가 아닌 다른 것을 만들다가
실수
로 기계의 볼트가 풀려 크게 다친 적이 있었어요. 다행히 수술을 잘 받긴 했지만 정말 무서운 순간이었죠. 기계를 다룰 땐 항상 안전에 유의해야 해요. 몸이 피곤한데 무리해서 작업을 해선 안 되죠. 제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나도 모르게 스며드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많이 접하는 거예요. 또 내가 직접 선택하지 않아도 친구들이 공유하거나 썸네일에 속아
실수
로 유해 콘텐츠를 보게 될 수도 있으므로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 해요. “이것이 진짜일까?”, “이런 말이 옳은 것일까?”, “이것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하고요. 그리고 그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시간을 달리는 섭섭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마음이 싱숭생숭해진 섭섭박사님은 깊은 생각에 빠졌어요. 예전에 했던
실수
들이 자꾸만 생각났지요. 섭섭박사님은 문득, 시간을 되돌려 보겠다며 실험실로 향했어요. 왜 이런 일이?☞결과 : 섞인 물감이 3색으로 분리된다!물엿은 점성이 높은 액체입니다. 점성이란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 ...
[출동!어린이 기자단] 그래프로 판단해! 거짓말 탐지 검사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7호
주의 깊게 보며 거짓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요. Q. 폴리그래프는 100%★ 정확한가요?사람도
실수
를 하듯, 그래프도 100%정확하지 않아요. 거짓말을 못 하는 사람은 오히려 쉽게 긴장해서 그래프가 마구 변하기도 하거든요. 그럴 땐 질문의 순서를 바꾸어 보면서 정확하게 변화가 보이는 지점을 파악해요. ... ...
좀비의 확산도 전염병 모형으로 예측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길들이면서 좀비에 의한 사망자 수가 줄어들기 시작해 32일 이후에는 거의 없었다.
실수
로 좀비에게 물리거나 길들인 좀비가 통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야생 좀비도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우리가 좀비에게서 살아남는 최고의 방법은 ‘좀비를 길들여 함께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편지를 보냈지만, 답장을 받지 못했다. 산소를 발견한 기록을 담은 원고도 인쇄소의
실수
로 출간되지 않아 셸레의 발견은 묻혔다. 그리하여 최초의 산소 발견자로 유명해진 사람은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영국의 목사이자 화학자 조셉 프리스틀리였다. 프리스틀리는 양조장의 맥주 발효통 속에서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다가오므로 공을 잡은 선수는 다음 행동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어 공을 빼앗기거나
실수
를 할 수 있다. 이렇게 압박을 강하게 하면 상대 선수가 자유롭게 행동하지 못하는 삼각형 공간을 촘촘하게 만들 수 있다. 삼각형은 공격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아래의 삼각형 그림을 보자. 공격수가 상대 ... ...
[SF소설] 엔딩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존재 형태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더 변명하지 않을게. 이렇게 만들 생각은 없었어. 우리
실수
야.”“그러면 정우가 잠깐이라도 깨어나게 해주세요.” 그들 사이에 침묵이 흘렀다. ★★는 그녀의 마음 어떤 부분을 헤아리려는 것처럼 그녀를 뚫어지게 바라보았다. “그건 간절한 소원이잖아.”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그 함수가 리만 가설의 핵심인 ‘제타 함수’다. 제타 함수는 오일러 곱셈공식에서 N에
실수
와 허수(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 등 다양한 수를 대입할 수 있는 식이다. 여기에서는 N을 s로 표기한다. 복잡하지만 여기서는 딱 한 가지만 알아두자. 오일러의 소수 연구가 수학계 최대 난제인 리만 가설로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작을 때 이를 만족하는 유리수가 무한히 많은 경우는 언제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이다. 즉
실수
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에 관한 정리다. 이런 업적으로 정수론계의 유망주로 떠오른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을 거머쥐었다. 필즈상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