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종자
자손
뿌리
근본
혈통
정자
스페셜
"
씨앗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과일이 열리는 나무를 발견하면 꺾꽂이나 접목 등 무성생식 방법으로 개체 수를 늘렸다.
씨앗
을 심어 키운 나무에서는 같은 품질의 과일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앞의 잡종 작물과 같은 이유다). 그런데 유성생식으로 게놈 재조합이 없음에도 새로운 특성이 종종 나타나고 때로는 바람직한 방향이라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①대학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면 대학 연구 지원해야
2021.06.16
R&D)을 담당할 인재들이다. 그런 점에서 대학의 연구는 결국 한 나라의 미래 산업발전의
씨앗
에 해당한다. 세계 각국이 국가 차원에서 대학 연구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그림1) 대학 개혁을 통해(맨 아래 표) 대학 연구의 질을 높이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이 지금처럼 급속히 과학기술과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이타카의 코넬식물원에서 코도판 멜론을 포함해 수박의 조상으로 거론되는 여러 품종의
씨앗
을 심어 직접 키웠다. 그리고 각 품종의 게놈을 분석해 유전적 차이를 조사했다. 게놈 해독에는 퍼시픽 바이오사이언스와 일루미나의 시퀀싱 장비가 사용됐다. 조사 결과 연구진이 사용한 현대의 수박 ... ...
이상률 항우연 원장 “조직 내 문제점 열거 어려울 정도로 많아…1년내 해결책 찾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연구 분야를 찾고 원장 임기 3년 내 모든 것을 할 수 없겠지만 2050년 이후를 대비하는 ‘
씨앗
’을 뿌리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TF 운영과 함께 가칭 ‘미래혁신연구센터’라는 조직 구성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30년 뒤를 보는 개념으로 연구를 시작하면서 우리가 잘할 수 있는 ... ...
[인간 행동의 진화] 미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동시에 같다
2021.05.02
꿀벌을 유혹하거나 포식자를 유혹하려는 것이다. 유혹에 성공해야만 수분에 성공하고,
씨앗
도 널리 퍼트릴 수 있다. 유혹의 대상은 각자 다르지만, 결과는 비슷하다. 과장된 색깔, 과장된 모양, 과장된 향기다. 테오프라스토스의 말마따나 ‘미는 말 없는 사기다’. 물론 나쁜 의미의 사기는 ... ...
[인터뷰] "무관심하되 항상 보라" 식물을 잘 키우는 비결
과학동아
l
2021.04.03
이렇게 매번 다른 모습의 식물을 다루는 것이 좋았다. 특히 빅토리아 수련을 콩알 크기의
씨앗
으로 번식시켜 잎 하나를 2m가량까지 키우고, 딱정벌레 대신 직접 수분을 시킨 경험이 가장 인상 깊었다. “빅토리아 수련은 밤 9시쯤에 파인애플 향기를 내며 활짝 펴요. 아마존에서는 딱정벌레가 꽃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덩어리인 '배반포'가 된다. 배반포는 신체를 구성하는 각종 세포로 분화하는 일종의 '
씨앗
'이므로 실험실에서 배반포를 기를 수 있으면 불임이나 배아나 태아가 사망하는 임신 손실의 원인을 알아내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5일 서로 다른 두 세포를 이용해 배반포와 유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야생형에 비해 키가 훨씬 작아졌다. 줄기 마디 사이의 간격이 짧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씨앗
의 모양에 관여하는 GS3 유전자를 사티바 유형을 바꾸자 낟알의 길이가 10% 정도 길어졌다. 식물의 생태도 쉽게 바꿀 수 있다. 알타는 남미의 저위도 열대지역이 원산지라 중위도인 북위 40도의 베이징에서는 ... ...
[KAIST서밋]日 도쿄공업대 총장 "대학은 사회와 함께 미래 그리고 연구자가 실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미래로 인도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며 "이러한 노력이 혁신의
씨앗
이 되어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이번 총장정상회의는 올해 개교 50주년을 맞는 KAIST가 기념사업의 하나로 마련했다. 향후 100년의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 초일류 과학기술대학으로 거듭나기 ... ...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스마트폰, 항공기, 의료 등 전 산업 분야에서 용접을 대체하며 제조혁명의 새로운
씨앗
이란 평가까지 나온다. 지난달 30일 부산 금정구 부산대에서 만난 최영선 부산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는 “제조 산업에 접착제가 쓰이지 않는 곳이 없다”며 “용접으로 구현할 수 없는 복잡한 형태를 만들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