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스페셜
"
전하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물질파로서의 전자라는 것이다. 한때 슈뢰딩거는 전자에 대한 파동함수가 전자의
전하
밀도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여기기도 했었다. 그러나 파동함수를 고전적인 의미의 파동으로 해석하기에는 어색한 면이 너무 많았다. 괴팅겐에서 고전역학과는 결별하고 완전히 다른 역학을 꿈꾸었던 보른은 192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보어의 원자모형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보어 모형에서도 중요한 것은 원자핵의
전하
량이다. 그러니까 모즐리의 결과는 원자 안에 양의 전기를 가진 핵이 있고,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질 때 그 에너지 차이만큼 광양자가설에 따라 전자기파를 방출한다는 러더퍼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
2021.10.21
mRNA 백신기술은 바이러스의 항원단백질을 코딩하고 있는 mRNA의 생산과, 이 mRNA를 안
전하
게 세포 내로 전달하는 리피드나노파티클 LNP의 합성으로 나누어진다. 이론적으로 DNA를 이용한 백신도 가능하지만 결국 핵산 염기서열을 이용해 성공한 기술은 DNA가 아닌 RNA였다. 그리고 이 기술의 개발에는 ... ...
박문정 포스텍 교수, 0.5% 벽 뚫고 미국물리학회 석학회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가 미국물리학회(APS) 최고 영예인 석학회원에 선임됐다고 18일 밝혔다. 박문정 교수는
전하
를 띠는 고분자의 전기적·기계적 특성과 스스로 만들어지는 자가조립 분자 구조에 대한 창의적이고 통찰력 있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APS는 고분자물리학 분과 추천에 따라 박 교수의 학문적 공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킬레이트가 강력하게 양이온과 상호작용하면서 전자를 쉽게 방출하게 해 배터리의
전하
이동속도를 크게 높였다. 그러면서도 음극 소재와는 반응하지 않아 계속된 충방전에서도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전해질이 마그네슘이온 배터리 뿐 아니라 칼슘이온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문가 양창덕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해결하는 새 정공 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 태양전지는 빛을 흡수하면 내부 물질이 양
전하
와 정공으로 나뉘어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정공을 전달하는 층을 정공 수송층이라 한다. 연구팀은 정공 수송층을 이루는 스파이로 물질에 플루오린(F)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수분 안정성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있어야 한다. 또한 무거운 알파입자가 한 번의 산란으로 후방으로 튕겨 나오려면 양
전하
가 집중된 그 뭔가는 굉장히 무거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알파입자의 진행경로를 크게 바꾸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모든 논의를 정리하자면 이렇다. 원자 속에는 음의 전기를 가진 전자도 있지만 양의 ... ...
[팩트체크] mRNA 백신에 산화 그래핀이 들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7
있어 음
전하
를 띠는 mRNA를 붙일 수 있기 때문"이라며 "굳이 그래핀에 mRNA를 실으려면
전하
를 띠는 물질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지질나노입자를 쓰는 것보다 오히려 더 번거롭다"고 설명했다. 지질나노입자는 1990년대 중반부터 약물전달체로 사용되고 있을 만큼 생체적합성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사과가 지면에 도달할 때의 속도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카우프만은 이런 방식으로 비
전하
를 구했고 그 결과는 톰슨의 결과에 비해 실제 값에 훨씬 더 가까웠다. 그럼에도 카우프만은 새로운 입자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다. 이는 19세기 중후반 유럽대륙의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 당시 대륙에서는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유전자 편집이 가능한 유전자 치료제도 나노 전달체에 싣게 될 것”이라며 “이들을 안
전하
면서도 효과적으로 원하는 곳까지 정확하게 전달할 정교한 핵심 소재와 제조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나노 전달체 신소재 개발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