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스페셜
"
전하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먹거리과학]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02.14
“고기의 적정 산성도인 pH5.4~5.8을 벗어나면 아미노산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전하
를 띠며 서로 응집하게 되고, 그 결과 수분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거나 많아져 수분 함유량이 정상치를 벗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설 농업연구사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조직감이 곧 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힘이 더 강하다. 그 결과 물분자에서 산소원자는 약간 음
전하
를 띠고 수소원자는 약간 양
전하
를 띤다. 물분자의 산소원자는 주변 물분자의 수소원자와 서로 끌린다. 이를 ‘수소결합’이라고 부른다. 온도가 내려가 물분자의 움직임이 느려지면 수소결합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결국 물분자들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했습니다. 그리하여
전하
는 첫 숨을 들이킴으로써, 이미 창조주가 고귀하게 빚어낸
전하
의 여린 육신과 영혼이 우주의 권능을 들이킬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 책에 소개된 갈릴레오의 관측 내용에는 달, 항성과 행성, 오리온자리와 플레이아데스 성단, 목성의 위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은하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컴퓨터에 쓰이는 네 가지 비트. 맨 왼쪽은 트랜지스터의 전자 비트로 게이트에 쌓인
전하
에 따라 0 또는 1이 할당된다. 다음은 전형적인 자기 비트로 극성(자기 모멘트)에 따라 0 또는 1이 할당된다. 다음은 확률 자기 비트(피비트)로 극성이 확률적으로 바뀌면서 지정한는 값도 0과 1 사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온 초전도 현상 비밀 쥔 '자성 폴라론'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7
직접적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폴라론은 양자역학적인 입자다. 양
전하
를 띠는 원자들이 빼곡히 모여 있는 고체 안에 전자가 들어간다고 가정했을 때, 폴라론은 전자가 고체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주변과 상호작용해 남기는 자취를 말한다. 방석에 쇠구슬을 얹고 이리저리 굴릴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재배딸기가 돼 돌아온 셈이다.게티이미지뱅크 “이게 정녕 딸기란 말이냐?” “예.
전하
.” “어찌 이리 크고 탐스러운가. 도대체 이 딸기가 어디서 났느냐?” “칠레에서 가져온 딸기의 꽃에 사향딸기 꽃가루를 묻혀 얻은 것이옵니다.” “대단하구나. 앞으로도 딸기 연구에 매진하도록 하라 ... ...
바닷물에서 전극 부식 없이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니켈-철 수산화물 전극을 코팅하는 방식의 새로운 구조를 만들었다. 니켈 황화물은 음의
전하
를 띄어 염화물이 전극에 올 경우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니켈-철 수산화물은 전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 만든 전극은 바닷물과 같은 염화물이 있는 상황에서도 오랜 시간 동작했다.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두 바퀴 감아 직경 11㎚의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
전하
를 띤 아미노산과 음
전하
를 띤 DNA의 상호작용 끝에 단단하게 결합해 더 응축한다. 대부분의 염색체는 실에 꿴 바늘처럼 긴 사슬 모양의 뉴클레오솜이 결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은 3차원 현미경 구조 분석을 통해 염색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반물질인 양전자(positron)가 나온다.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 등 모든 특성이 같고 다만
전하
만 반대다. 이렇게 생겨난 양전자는 곧바로 주변의 전자를 만나 소멸하면서 해당 질량의 에너지(E=mc2에 따라)를 갖는 광자(감마선) 두 개로 바뀐다. 감마선은 빛의 속도로 움직임에도 멀리 가지 못하고 태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있다. 한편 단백당은 큰 힘을 받는 조직에 많이 존재해 완충 역할을 한다. 표면이 음
전하
이기 때문에 힘을 받아 조직이 수축되면 단백당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정전기적 반발력이 커져 버티는 것이다. 힘줄뼈부착부위가 큰 힘을 받아도 짜부라지지 않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