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작물 벼는 야생 벼보다 건조할 때 잎이 더 잘 말리는데 여기에는 기동세포 생김새의
차이
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세포 한쪽 표면에는 물고기 비늘처럼 생긴 구조가 있는데 평균 개수는 작물 벼가 더 많지만 일정하지는 않다. 기동세포의 비늘 개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평가했을 때는 흑백으로만 공부한 G2G가 가장 높았고 C2G와 G2C(신생아)가 뒤를 이었지만
차이
는 적었다. 그런데 C2C(청소년)는 점수가 뚝 떨어졌다. 결국 신생아의 눈이 처음부터 완벽하지 않고 부실한 상태에서 서서히 완성되는 것은 시지각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한 진화의 결과인 셈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가격은 배럴당 80달러라는 사실도 무시했고 천연가스와 석유의 가격에도 상당한
차이
가 있다는 사실도 외면해 버렸다. 산업부 장관의 평가는 지나치게 부풀린 것이 분명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동해 석유·천연가스 자원의 가치는 산업부 장관이 평가한 것의 10분의 1까지 줄어들 수 있다. 정부가 밝힌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의 둥지에 알 낳는 뻐꾸기, '종분화'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점을 발견했다. 계통이 갈라진 서로 다른 청동뻐꾸기 간의 가장 두드러진 외형적
차이
는 성체의 깃털과 울음소리였다. 이는 숙주 새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계통과 이기기 힘든 계통을 식별하고 이길 확률이 높은 계통끼리 짝을 이뤄 자손을 번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이 새로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전해주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었다. 시간 차는 불과 150msec에 불과했고 이
차이
는 수술 진행에 전혀 장애가 되지 않았다. 54분간 시도된 최초의 원격수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2003년에는 캐나다 해밀턴에서 일하던 의사 안바리(Mehran Anvari)가 로봇의 도움을 받아 약 400km 떨어진 노스베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나타났다. 그런데 문제는 SBS12을 일으키는 원인을 모른다는 것이다. 이런 극단적인
차이
는 유전적 요인이나 임의의 돌연변이로는 설명할 수 없으므로 분명 일본 고유의 환경 요인이 있을 텐데 아직 찾지 못했다.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인접 국가의 신장암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며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양극성 장애, 조현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성별
차이
를 이해하면 더 나은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실린 연구에서 호주 퀸즐랜드대 연구팀은 정신 질환의 질병 진행을 파악할 수 있는 뇌세포 유형을 평가했다. 1270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바소프레신 합성 뉴런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크게 영향 받는다”며 남녀
차이
의 배경을 설명했다. ● 알로스타틱 호르몬 지난 2020년 학술지 '인지과학 경향'에는 옥시토신의 다양한 기능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해 일반화한 기고문이 실렸다. 즉 옥시토신은 동물이 변화하는 환경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
2024.05.11
어딘가 후련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근원적인 공통점 앞에서 문화와 사고방식의
차이
는 어쩌면 아주 사소한 것일지도 모른다. 같이 조금씩 죽어가고 있는 입장에서 서로에게 조금씩이나마 친절할 수 있다면, 다음 세대를 위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내 존재의 의미를 밝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요법 등으로 전반적인 생존율은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그런데 개별 암에 따라 성적에
차이
가 크다. 예를 들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생존율은 14%에서 95%로 극적으로 올라갔다. 제품명 글리벡인 신개념 항암제가 나온 덕분이다. 반면 췌장암은 여전히 1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