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차이
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는 핵의 유무 외에도 아직까지 학자들이 발견하지 못한
차이
도 있으므로 일부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기는 하지만 사람과 같은 진핵세포에서는 아무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닥티노마이신은 세균이든 암세포든 DNA에 닥티노마이신이 끼어 들어가면 생존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기대도움 6.1에 약간 못 미친다. 선수 개인의 골 결정력에 따라 실제 득점과 기대득점이
차이
가 나는 반면 활동 기간이 길면 실제 도움이 기대도움과 비슷해진다. 슈팅하는 선수와 막는 골키퍼가 여럿이라 개인 능력 효과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실제 손흥민의 EPL 통산 도움은 57개로 기대도움 5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뿐이다. 중국의 억지에도 불구하고 야체와 젓갈을 섞어서 만드는 ‘김치’는 ‘파우
차이
’(泡菜)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식이다. 물론 UN이 매년 발행하는 기념우표의 ‘중국설’(Chinese New Year)은 ‘음력설’(Lunar New Year)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치료에 널리 이용되기 시작했다. 그 해에 페니실린의 구조식도 밝혀지고 구조의 작은
차이
에 따라 종류도 다양함이 알려졌다. 지금은 곰팡이에서 분리하는 대신 반합성 페니실린을 사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수여된 1945년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장자로 페니실린을 발견한 플레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애기장대에서는 빛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형광이 줄어드는 반면 변이체에서는 거의
차이
가 없이 전체적으로 형광이 나타난다. 그런데 ABCG5가 어떤 물질을 수송하기에 세포 사이 공간에 공기 대신 액체가 차는 걸까. 연구자들은 이 단백질이 세포벽 성분인 큐틴이나 수베린, 리그닌을 수송하는 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요소수 탱크에 산업용 요소수 10리터를 넣고 생수 2리터를 더 넣어주면 된다. 요소 농도의
차이
를 제외하면 차량용 요소수와 산업용 요소수는 근본적으로 똑같은 제품이다. ‘농도’와 ‘순도’가 다른 산업용을 차량에 사용하면 SCR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는 근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확인되었다. 또한 상대가 바라는 이상적인 친밀도와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인 친밀도의
차이
(예, 상대는 최대 10에서 9의 친밀도를 원하지만 나는 7을 원하는 등)보다 상대방이 자신의 내적 바운더리를 넘어서고 있는지 여부가 더 관계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가 자신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차이
가 별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많이 배운 것 같다는 느낌에서는 큰
차이
가 나서 열정적인 강사를 본 그룹의 사람들의 경우 자신감만큼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배웠다는 착각(illusion of learning)”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낮은 조건에서 지질을 잃은 각질층이 더 빨리 건조해졌다는 뜻이다. 다만 제품에 따라
차이
가 있어 가장 심한 제품은 60%나 더 커졌다. 반면 반인공 피부 표면에 보습제를 바르면 변형력이 작아졌다. 역시 제품에 따라 정도가 달랐고 가장 효과적인 제품은 감소 폭이 40%에 이르렀다. 어찌 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KDM5D다. 대장암은 남성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다. 과거에는 남녀의 생활 습관의
차이
로 설명했으나 최근 연구 결과 Y염색체의 KDM5D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KRAS 변이로 KDM5D의 활성이 커지면 암세포 사이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면역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