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에 쫓기듯 살아가고 있지만 누구나 시간의 본질에
대해
알고 있지는 않은 듯 싶다. 시간의 기원에서부터 시간여행, 시분초와 달력, 원자시계, 생체시계, 그리고 심리적 시간까지 그 본질을 파헤쳐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존재하는가?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시간의 끝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조용민 교수는 “현재의 우주가 어떠한지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앞으로 팽창을 멈추고 다시 수축할 것인가, 아니면 팽창을 계속할 것인가다. 최근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분자수준에서 일주기리듬의 작용방식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이는 생물이 외부 환경에
대해
단지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처음으로 시계유전자의 존재가 밝혀진 시기는 1970년대 초. 초파리의 변태가 일주기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미 캘리포니아공대 대학원생 론 코놉카는 획기적인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주사령부는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국방부에 전달한 다음 대륙간 탄도탄 요격위성에
대해
전투태세 명령을 하달했다. 잠시 후 테러국가는 대륙간 탄도탄을 차례로 발사했다. 그런데 첫 두기는 발사 이륙 후 3-4분 내에 섬광을 일으키며 폭발해 테러국가 내에 떨어졌고, 세번째 미사일부터는 무슨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뇌 측두엽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기억상실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과 시간의식에
대해
조사했다. 기억이 입력되는 부분인 해마가 손상된 환자는 1분 이상의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은 정보를 학습해 새로운 기억으로 저장하지 못하는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보인다. 그러나 ... ...
1 명태 줄어들고 해파리 난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연안국들은 오래전부터 엘니뇨현상과 관련해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변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해왔다.엘니뇨는 남아메리카 서해안을 따라 흐르는 차가운 페루해류 속에 갑자기 따듯한 물이 침입해 바닷물 온도가 2-3℃, 심하면 8-10℃까지 올라가는 현상이다. 이렇게 되면 그보다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레고리 바시 교수는 “우리는 아직까지 피부색을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구성에
대해
거의 아는 바가 없다”고 말한다. 다만 최근의 연구 결과 피부색의 발현에는 생각보다 적은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피부나 눈, 머리카락의 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있기 때문이다. 멜라닌은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움직이지만 우리가 느끼기에는 마치 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천구에
대해
달이 움직이는 상대 속도인데 의외로 빠르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월 8일 서울대 생명과학부 최재천 교수와의 대담에서 구달 박사는 왜 그래야만 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첨단제품을 만들어낸 놀라운 지능을 활용하면 동물을 희생하는 잔인한 방법을 택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구달 박사는 문제가 있으면 어려움을 ... ...
휴대전화에도 쓰이는 차세대 암호연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실에서 연구중인 타원곡선 암호기술은 타원곡선의 궤도로 만들어진 도넛이 덧셈에
대해
닫혀 있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즉 도넛 위에 위치한 두점을 더하면 도넛 위에 또다른 점으로 표현된다. 비록 덧셈이지만 어떤 점이 더해서 된 것인지 해를 구하는일은 슈퍼컴퓨터로도 불가능하다. 이렇게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