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
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숨은 코드 비대칭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
이 지배하는 세계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스위스 제네바는 각종 국제기구가 몰려있는 도시로 유명하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노동기구(ILO), 세계무역기구(WTO)의 본부는 물론 유엔(UN) 유럽 ... 폭탄과는 거리가 먼 무척 적은 양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반
물질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반
물질
을 저장하는 기술은 등장하지도 않았다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부임할 때까지 흑체복사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공식이 없었다. 플랑크는 특정한 물체나
물질
에 상관없이 언제나 성립하는 일반적인 이론을 만드는데 흥미가 있었다. 따라서 흑체복사 문제는 그에게 더 없는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는 당장 오븐의 복사 연구에 뛰어들었다. 복사의 각 색깔에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국 허쉬코 박사팀의 ATP의존 단백질분해인자가 로즈 박사팀의 유비퀴틴과 같은
물질
이었던 것이다! 분해될 단백질을 찾아 입을 맞추는 주인공이 바로 유비퀴틴이란 얘기.예상치 못한 행운에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붙을 때 E1, E2, E3라는 효소들이 차례로 작용한다는 것을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포식세포가 먼저 포획하기 때문이다. 스텔스 리포솜의 표면에는 포식세포가 자신을 이
물질
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스텔스 분자인 PEG가 붙어 있다. 꼬불꼬불한 실처럼 생긴 PEG는 포식세포가 침입자를 조사하기 위해 보낸 전령이 리포솜 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게 방해한다.미국의 DDS개발회사인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세포 안에 있는 특수 효소(아데닐 사이클라제)를 자극한다. 이 효소가 세포 안에 cAMP라는
물질
을 많이 만들면 세포막에 있는 특수 통로가 열려 이온들이 세포막 안팎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전위차’가 생기고 이것이 마치 전기처럼 신경세포를 타고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수 ‘다사니’ 를 출시한 회사다. 하지만 이 생수가 수돗물을 정수한 것이며 발암
물질
도 포함돼 있다는 점이 올해 초 밝혀지면서 망신을 샀다.의학상은 컨트리 음악이 자살충동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미 어번대 제임스 군들라흐 연구팀이 받았다. 연구팀은 미국 내 49개 도시의 자살률을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DNA와 RNA같은 핵산 또한 생체분자기계를 제작하는 연구에서 빠질 수 없는 생체
물질
이다. 특히 DNA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한데 이는 RNA와 비교할 때 안정성이 높고 DNA가 이중나선 구조를 이룬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지난 2000년 8월 10일자‘네이처’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물리학과 앤드류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빛이 나도록 했다. 이 누룩세포를 바퀴벌레 등에 붙인 뒤 특정 지역에 침투시키면 유해
물질
의 존재와 위치까지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콜레라 바이러스를 맞닥뜨렸을 때 녹색으로 빛나는 누룩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벌레는 정보기술에서도 안전감시원 역을 톡톡히 해낸다. 컴퓨터에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장 내부 표면적은 약 4백m2다. 음식물 성분이 장내로 들어왔을 때 장 점막이 이를 이
물질
로 인식해 항체를 분비하면 염증이나 알레르기 같은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 같은 식품 알레르기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 인구의 약 10%가 경험하고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달걀 흰자위의 주요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