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층 파괴 없이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한다
2014.10.27
공기를 주입해 심해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는 모습. -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번에는
특정
성분의 기체 대신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기를 사용했다. 따라서 기체를 따로 준비하는 과정 없이 해상에서도 쉽게 주입할 수 있다. 이 교수는 “국내 울릉분지 근처 해저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아래에는 친절하게 ‘The University Experiment’라는 제목을 달아 놨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는
특정
연구 결과 대신 전세계 대학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을 다룬 기획 기사를 형상화했다. 11세기에 대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장 우선시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나 유클리드 같은 고대 현인들의 저작을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발표한 논문을 6컷의 만화로 간단하고 쉽게 설명했다. 세포 성장과 단백질 합성에
특정
물질이 관여하는 복잡한 원리를 아기자기한 만화와 대화체를 통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풀어낸 것이다. 사실 권 교수의 어릴 적 꿈은 만화가였다. 대학원에 와서 실험에 빠져 만화가의 꿈을 잊고 지내다가 ... ...
한국인, 칼슘-인 영양 균형 무너졌다
2014.10.17
몸속의
특정
영양성분이 부족하거나 넘치지 않도록 식습관을 조절해야 한다는 사실은 상식이다. 하지만 영양성분 간에 균형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영양학자들은 생화학적으로 구조가 비슷하거나 생리학적 역할이 상반되는 영양소들이 있는 경우 이들의 균형을 잘 유지해야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오키프 교수는 1970년대 쥐의 해마에서 장소세포(place cell)를 발견한 신경과학자다.
특정
장소에서만 발화되는 뉴런이라서 이런 이름을 붙였다. 유명한 교수 밑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 부부는 그러나 몇 달 안 돼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트론헤임에 있는 노르웨이과학기술대에서 두 사람 다 ... ...
뇌 염증 억제하는 새로운 물질 발굴
2014.10.13
‘HMGR’에 직접 결합하기 때문에 HMGR이 염증 반응을 유도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특정
질환이나 증상에 효과를 보이는 물질을 찾더라도 이 물질이 작용하는 표적 단백질을 찾지 못하면 신약으로 개발하는데 제약을 받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ICM의 표적 단백질 까지 찾아내 ICM이 ... ...
[이주의 과학 신간] 리처드 뮬러의 그림으로 배우는 물리학 外
2014.10.12
알게 된 것을 첫 번째로 꼽는다. 그런데 다른 발견과 달리 빅뱅 우주론은 어떤 하나의
특정
한 발견을 통해 완성된 것이라고 꼬집어 말하기 어렵다. 100여 년 동안 여러 과학자들의 연구가 차곡차곡 쌓여 하나의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됐다. 특히 천문학자들이 찍어온 사진을 분석하는 단순하고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지우는 실험에 성공해 8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쥐가
특정
장소에 갈 때마다 연구진은 쥐의 다리에 전기 충격을 가했고, 이후 쥐는 그 장소에 갈 때마다 몸이 경직되는 공포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쥐에게 제논 가스를 맡게 하자 이후 18일 동안 같은 장소인데도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
2014.10.08
기억으로 어떻게 저장이 되는지에 대해 박사 논문을 쓰기로 정했다. 오키프 교수는
특정
장소에서만 전기신호를 발화해 장소 정보를 처리하도록 특화된 장소세포가 해마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1971년 최초로 발견하여 이후로 해마의 공간 정보 처리 기능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해오고 있었다.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돕는다. 해마 전문가인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장소세포는
특정
위치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라며 “알츠하이머 환자는 장소세포와 격자세포가 오작동을 일으켜 공간지각 능력이 망가지면서 길을 잃는 만큼 관련 질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벨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