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16건 검색되었습니다.
키컸으면~ 키컸으면~ ‘키 유전자’ 700개 추가로 발견
2014.10.06
분석 결과 424개의 유전자 위치에서 키와 관련된 697개의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이는
특정
형질이나 질병을 발현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유전자 수로는 가장 많은 것이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유전자들은 대부분 성장과 관련된 유전자 부위에 모여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 ... ...
‘아바타 마우스’는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일 것인가
2014.10.05
연구하고 있는 다양한 실험용 쥐 기술을 소개한다. 유전자를 조작해서 실험쥐의 새끼가
특정
한 암에 걸리도록 만드는 방법, 그리고 환자의 암세포를 여러 실험용 쥐에게 이식해서 쥐를 해당 환자의 아바타로 만드는 방법 등이다. 비록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올리브 교수를 비롯한 열정적인 ... ...
우주 공간에서 유기분자 찾아냈다
2014.09.29
분석했다. 이 결과 이소-프로필시아나이드(iso-propyl cyanide, i-C3H7CN) 유기분자 에서 나오는
특정
한 라디오파를 관측하는데 성공했다. 외계에서 날아온 전파를 분석해 우주 공간에 유기물질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이 라디오파가 발생한 곳이 흔히 궁수자리라고 불리는 ‘사지타리우스 ... ...
발암 단백질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줄기세포 단백질
2014.09.28
밝혀졌다. 에바 헤르난도-몬지 미국 뉴욕대 랑곤 메디컬 센터 박사팀은 BRD4라고 불리는
특정
단백질이 줄기세포의 만능성 유지를 돕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단백질은 단백질 BRD4는 이전까지 여러 암세포에서 발견되면서 이 단백질을 막기 위한 치료법 이 연구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의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하나하나를 놓고 보면
특정
한 지식이 창출되거나 반박되었음이 즉시 알려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은 우리가 입수하는 정보에 좌우된다. - 새뮤얼 아브스만, ‘지식의 반감기’ 201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오류 논란은 지금 생각해도 납득이 되지 않는다. 제3자인 필자도 ... ...
‘괜사’ 조인성 앓는 ‘조현병’ 원인 밝혀졌다
2014.09.16
제공 그 결과 드라마의 장재열처럼 환시를 보거나 망상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 중 95%가
특정
유전자 배열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횡설수설하는 증상을 보이는 환자 모두에게서 동일한 유전자 배열이 공통적으로 발견됐다. 이런 조사를 거쳐 연구진은 유전자 묶음 8개가 서로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반영돼 있다. 즉 물분자가 모여 눈결정이 형성되는 것처럼 세포가 모여 자발적으로
특정
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같은 공간적인 ... ...
한의학연 원장 재공모 “전통의학 연구 차질”
2014.09.15
국회 법제사법위원장(대전 유성) 의원은 “국회 차원에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줄대기,
특정
인사 밀어주기 등 각종 의혹에 대해 진상조사를 실시해야한다”며 “국회가 정상화 되는 대로 관련사실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당시 미국의 신경학자였던 칼 래슐리 박사는 쥐의 뇌를 상당 부분 제거한 뒤에도 쥐가
특정
기능을 학습하는 데 성공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 이후 사람도 뇌의 일부만 사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이 주장이 사실처럼 굳어졌다. 뇌 신경학자인 에릭 천들러 미국 워싱턴대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상태에서 전자 빔을 쏘아 하나하나 구멍을 내야했다. 연구진은 금 나노입자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했을 때 열이 발생하는 ‘광열 전환’ 현상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래핀에 금 나노입자를 뿌려놓은 뒤 빛을 쪼였더니 금 나노입자가 진동하면서 원형과 사각형, 반달모양 등 다양한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