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1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보자, 하드웨어
동아일보
l
2014.07.16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페블은 2012년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불
특정
다수의 투자를 유치하는 플랫폼) ‘킥스타터’를 통해 1000만 달러가 넘는 창업 자금을 마련했다. 아마존을 비롯한 오픈마켓의 활성화는 판로(販路) 개척의 어려움을 대폭 줄여준다. 미국 IT 전문 미디어 ... ...
콩 심은 데 콩 나고, 그래핀 심은 데 그래핀 난다
과학동아
l
2014.07.15
시트형)이 만들어졌다. 이 평면 그래핀을 X선 장치로 검사한 결과 그래핀에서만 나오는
특정
패턴이 확인됐다. 그래핀 씨앗으로 만든 시트형 그래핀이 순수 그래핀으로 성장했다는 뜻이다. 이런 확인 과정이 중요한 까닭은 순수한 그래핀이 아니면 구조 유지, 전기전도도와 투광성 등에서 큰 차이가 ... ...
1세 아기들 뇌 직접 찍어보니…
과학동아
l
2014.07.15
장비다. 실험 결과 주위 사람의 말소리가 들릴 때 실험에 참여한 모든 아기의 뇌 속
특정
부위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활성화 된 뇌 부위는 말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와 말하기에 필요한 근육을 움직이는 ‘브로카 영역(Broca's area)’이었다. 연구팀은 ... ...
‘침팬지 언어’ 번역됐다…성적 관심을 끌고싶을 땐 어떻게?
동아일보
l
2014.07.09
내미는 행위는 다른 뜻이 아닌 "내 등에 올라 타"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몸의
특정
부분을 상대방에게 보여줄 때는 그 부분의 털을 다듬어달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손등으로 가볍게 밀 때는 "저리 비켜"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캐서린 호바이터 박사는 "앞선 연구에서는 유인원이 상대방이 ... ...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이 지구로 돌진?
과학동아
l
2014.07.08
물리학과 교수는 “극한에너지 우주선이 우주에서 균등하게 날아오는 것이 아니라
특정
한 곳에서 기원한다는 사실을 밝힌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이런 우주선이 만들어지는 곳이 어디인지 앞으로 알아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형성하는데, 이를 글루텐이라고 부른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사실 글루텐은
특정
한 단백질의 이름이 아니라 글리아딘(gliadin)과 글루테닌(glutenin)이라는 두 단백질이 만나 형성된 그물구조의 단백질 복합체다. 따라서 정작 밀알 내부에는 글루텐이 없다. 그런데 밀을 가루로 만든 뒤 여기에 물을 ... ...
뚜~뚜~ 베이스가 리듬 악기 대명사 된 이유
과학동아
l
2014.07.06
잘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청각피질은 엇박자가 발생한 지 0.12~0.25초 뒤에
특정
신호를 나타냈는데, 이 신호가 저음의 피아노 소리를 들려줄 때 더 자주 나타났다는 것이다. 특히 사람들에게 무성영화를 보여줘서 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하게 한 경우에도 저음에서는 뚜렷한 신호가 나타났다 ... ...
전자코만 있으면 사망 시각 추적 ‘OK’
과학동아
l
2014.07.01
측정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직장 온도는 사망 후 6시간까지 유지되다가 이후
특정
곡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측정이 쉽고 정확도도 높지만 법죄수사물 등에선 그리 많이 소개되진 않았던 방법이다. 자주 등장하는 방식으로는 근육의 경직도를 확인하는 ‘시강’을 들 ... ...
치매로 잃은 기억, 되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06.30
찾아냈다. ‘마오-B’라는 효소 때문에 생성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가바(GABA)’가
특정
음이온 채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 신경세포의 정상적인 신호전달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일련의 과정을 차단하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막거나 소실된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것 또한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부분을 정상으로 바꿔치기 한다. 1990년대 처음 소개된 1세대 유전자가위 ZFN은 DNA의
특정
염기서열에 달라붙는 아연집게단백질(zinc finger protein)에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에서 DNA가닥을 자르는 활성을 띠는 부분을 붙인 합성단백질이다. 즉 ZFN의 아연집게가 게놈에서 고장난 유전자가 있는 부분을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